- 영문명
- Comparison of Penetrating Keratoplasty and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in Eyes with Glaucoma Ahmed Valve impla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조연우(Yeonwoo Cho) 양순원(SoonWon Yang) 정도훈(Doh Hoon Chung) 김선주(Seon Joo Kim) 황유숙(You-Sook Hwang) 주천기(Choun-Ki Joo) 변용수(Yong-Soo Byun) 정소향(So-Hyang Chung) 김현승(Hyun-Se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3, 242~25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 삽입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전체층각막이식을 받은 11안,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받은 1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1·3·6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각막내피 세포 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거부반응 및 이식 실패를 평가하였다. 두 수술법의 이식편 생존율은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층각막이식군(PKP)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군(DSAEK)의 생존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295), 이식 실패는 PK군에서 수술 후 평균 12.9 ± 10.1개월, DSAEK군에서 평균 18.8 ± 5.3개월에 발생하였다. 최대교정시력은 PK군에서 수술 후 1·3개월째(p=0.027, 0.017), DSAEK군에서는 수술 후 1·3·6개월째(p=0.005, 0.005, 0.005)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두 군 간의 비교 시에는 DSAEK군이 PKP군보다 수술 후 1·3·6개월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다(p=0.023, 0.007, 0.004).
결론: 본 연구에서, 각 수술 방법에 따른 유의한 생존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DSAE군에서 이식 실패가 더 늦게 나타나는 경향과 보다 우수한 시력 결과를 보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은 아메드밸브 삽입안에서도 전체층각막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and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in eyes with Glaucoma Ahmed Valve implants.
Methods: The chart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PKP and 11 who underwent DSAEK between February 2016 and June 201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patients previously underwent Ahmed valve implant surgery.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traocular pressure, and endothelial cell count were compared 1,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Graft rejection and graft failure were also evaluated during follow-up. The survival rates were compared using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Results: The difference in graft survival rates of the PKP and DSAEK groups was not significant (p = 0.295); however, graft failure occurred earlier in the PKP group (12.9 ± 10.1 vs. 18.8 ± 5.3 months). The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the PKP group had improved at 1 (p = 0.027) and 3 (p = 0.017) months, while the DSAEK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t 1, 3, and 6 months (all p = 0.005). Intergroup analysis showed better visual prognosis of the DSAEK group at 1, 3, and 6 months after surgery (p = 0.023, p = 0.007, and p = 0.004, respectively).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two corneal transplantation methods did not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graft survival rates; however, graft failure occured later in the DSAEK group and the postoperative visual acuity was better than in the PKP group.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performing DSAEK in patients with an Ahmed valve implant seems to be a good alternative to PKP.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으로 전이된 원발유방암 환자 증례 보고
-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홍채낭종 절개술의 임상 효과
- 프로스타글란딘의 Benzalkonium Chloride 보존제가 각막지각에 미치는 영향
- 기증각막 관련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분석
- 아래눈꺼풀의 원발점액샘암종
- 녹내장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비교
- OPA1 유전자의 c.1334G>A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 우성시신경위축 환자
- 백내장 수술 후 치료콘택트렌즈와 안약 치료를 적용한 임상 결과
- 샤임플러그사진기를 이용한 덧눈꺼풀 교정술 전·후 각막난시 비교
-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체시검사법
- 급성폐쇄각녹내장과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심전방깊이 변화량 비교
-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설문을 통한 증상 점수와 안구건조증 검사들 사이의 관계 분석
- 원추각막이 있는 눈에서 미니공막콘택트렌즈 착용의 임상 결과
- 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른 혈관밀도의 술 후 변화
- 반복적인 유리체출혈로 발현한 추정 잠복결핵 관련 중간포도막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