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체시검사법

이용수  10

영문명
A Prototype of a Stereoacuity Test Using a Head-Mounted Displa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조현아(Hyuna Cho) 김효선(Hyosun Kim) 목랑균(Rang Kyun Mok) 박성은(Sung Eun Park) 최웅락(Wungrak Choi) 한승한(Sueng-Han Han) 한진우(Jinu Han)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3, 301~308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를 이용한 새로운 입체시검사의 신뢰도 및 기존 입체시검사와 결과 차이를 평가해 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7년 8월부터 2018년 7월까지 32명의 정상 성인을 모집했다. HMD (Galaxy Gear VR, Samsung, Yongin, Korea)를 착용하면, 양안에 각각 난점 배경의 3개의 원 이미지가 보이고, 이 중 한 개의 원에 7단계의 망막시차(135-1,350 arcsec)로 입체 원을구현했다. Randot 입체시검사와 TNO 입체시검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하고 HMD를 통한 입체시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했다. 결과: 대상자 총 32명, 남자 17명(53%), 평균 나이 30.1 ± 4.8세였다. 1차 HMD검사에서 평균 160 ± 54초각, Randot 입체시검사 평균28 ± 13초각, TNO 입체시검사 평균 96 ± 84초각, 2차 HMD검사 평균 143 ± 48초각의 입체시를 보였다. 두 번의 HMD검사를 Bland-Altman plot으로 분석하면 평균 차이 0.042 (-0.189 to +0.272, 95% limits of agreement)로 양호한 일치도를 보였고, 신뢰도검사에서 0.499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p=0.022), Cohen’s kappa 통계 81.25%의 일치도(Cohen’s kappa 지수=0.119, p=0.017)로 보통의 재현성을 보였다. 결론: HMD검사는 한눈단서가 없는 새로운 입체시검사법으로 보통의 재현성을 보였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HMD검사를 통하여 정밀 입체시 측정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a contour-based stereoacuity test using a head-mounted display (HMD) and compare it with other stereotests. Methods: Thirty-two healthy adults aged 23-47 year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between August 2017 and July 2018. Two separate contour-based circles (crossed disparity: 135-1,350 arcsecs) were generated on a high-resolution phone display (Galaxy S7; Samsung, Seoul, Korea) using an HMD (Galaxy Gear VR). Two images were independently projected to each eye as graded circles with a random dot background. The results of the new HMD stereotest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tandard Randot and TNO stereotes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Bland-Altman plot and Cohen’s kappa statistics. Results: Among the 32 study participants, 17 (53%) were males and the mean age was 30.1 ± 4.8 years (range: 23-47). The mean stereoacuity was 160.3 ± 53.5 arcsecs in the first HMD stereotest (HMD1), 28.4 ± 12.5 arcsecs in the Randot stereotest, 96.1 ± 83.5 arcsecs in the TNO stereotest, and 143.3 ± 47.7 arcsecs in the second HMD stereotest (HMD2). The Bland-Altman plot showed a mean difference of 0.042 (-0.189 to +0.272, 95% limits of agreement) between HMD1 and HMD2. The reliability analysis showed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99 (p = 0.022) and agreement of 81.25% in Cohen’s kappa statistics (Cohen’s kappa index = 0.119, p = 0.017). Conclusions: The HMD stereotest without monocular cues showed fair test-retest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Further studies using a high resolution display are need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HMD stereotest.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아(Hyuna Cho),김효선(Hyosun Kim),목랑균(Rang Kyun Mok),박성은(Sung Eun Park),최웅락(Wungrak Choi),한승한(Sueng-Han Han),한진우(Jinu Han). (2022).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체시검사법. 대한안과학회지, 63 (3), 301-308

MLA

조현아(Hyuna Cho),김효선(Hyosun Kim),목랑균(Rang Kyun Mok),박성은(Sung Eun Park),최웅락(Wungrak Choi),한승한(Sueng-Han Han),한진우(Jinu Han).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체시검사법." 대한안과학회지, 63.3(2022): 301-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