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Anterior Chamber Depth with Posture Change Between Primary and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류경제(Kyung Jae Ryu) 이종연(Jong Ye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3, 286~29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초음파생체현미경을 이용하여 급성폐쇄각녹내장,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군과 정상군에서 누운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의 자세 변화에 따른 중심전방깊이, 전방각 변화를 측정하고 세 군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급성폐쇄각녹내장으로 진단된 환자 18명,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환자 13명, 단순 백내장을 진단 받은 29명을 대조군으로 총 60명(60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진 후 앉은 자세와누운 자세에서 중심전방깊이, 섬유주 홍채각, 각막곡률반경 및 안축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급성폐쇄각녹내장군의 누운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중심전방깊이는 각각 1.61 ± 0.47 mm, 1.55 ± 0.46 mm로 대조군 2.48 ± 0.49 mm, 2.47 ± 0.50 mm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p=0.01, p=0.009).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군도 각각 1.65 ± 0.84 mm, 1.52 ± 0.82 mm로 대조군에 비하여 작았다(p<0.017, p<0.001). 자세 변화에 따른 중심전방깊이 변화량의 절대값은 대조군 0.09 ± 0.08 mm에비해 급성폐쇄각녹내장군(0.15 ± 0.09 mm),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군(0.25 ± 0.11 mm) 모두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p=0.011, p<0.001),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군에서 가장 큰 변화량을 보였다(p=0.012). 전방각의 변화량은 세 군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않았다(p=0.165).
결론: 녹내장군은 정상군에 비해 중심전방깊이가 작고, 자세 변화에 따른 전방깊이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군은 중심전방깊이의 변화량이 급성폐쇄각녹내장군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changes in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between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using an ultrasound biomicroscope among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 and normal group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8, 13, and 29 individuals with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 and control, respectively. The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trabecular iris angle, corneal curvature, and axial length were measured in the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Results: The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in the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were 1.61 ± 0.47 mm and 1.55 ± 0.46 mm in the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which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2.48 ± 0.49 mm and 2.47 ± 0.50 mm) (p = 0.01 and p = 0.009, respectively). In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 the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in the supine and sitting positions were 1.65 ± 0.84 mm and 1.52 ± 0.82 mm,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01 for both). The absolute change in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with posture altera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in both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0.15 ± 0.09 mm) and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 (0.25 ± 0.11 mm) than in the normal control (0.09 ± 0.08 mm) (p = 0.011, p < 0.001, respectively). The largest amount of change was shown in the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 (p = 0.012). The absolute change in anterior chamber angle with posture change wa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 = 0.165).
Conclus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was smaller in both glaucoma groups. The absolute change in the anterior chamber depth with postur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lens-induced angle closure glaucoma than in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신경으로 전이된 원발유방암 환자 증례 보고
- 야그레이저를 이용한 홍채낭종 절개술의 임상 효과
- 프로스타글란딘의 Benzalkonium Chloride 보존제가 각막지각에 미치는 영향
- 기증각막 관련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 분석
- 아래눈꺼풀의 원발점액샘암종
- 녹내장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비교
- OPA1 유전자의 c.1334G>A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 우성시신경위축 환자
- 백내장 수술 후 치료콘택트렌즈와 안약 치료를 적용한 임상 결과
- 샤임플러그사진기를 이용한 덧눈꺼풀 교정술 전·후 각막난시 비교
- 머리 부분 탑재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입체시검사법
- 급성폐쇄각녹내장과 수정체유발 폐쇄각녹내장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심전방깊이 변화량 비교
- Symptom Assessment in Dry Eye 설문을 통한 증상 점수와 안구건조증 검사들 사이의 관계 분석
- 원추각막이 있는 눈에서 미니공막콘택트렌즈 착용의 임상 결과
- 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른 혈관밀도의 술 후 변화
- 반복적인 유리체출혈로 발현한 추정 잠복결핵 관련 중간포도막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