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ablishment of Poetical Circle and Expression of Scenic Beauty in Chonnam Area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박명희(Park, Meoung-hui)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26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고는 15~6세기에 무등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적 문학 활동을 시단으로 규정한 그간의 연구를 충실히 따르면서 궁극적으로 시단이 지닌 한문학적 의미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시단이 형성될 수 있었던 기저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단을 출입하였던 문인 중 한 사람인 김인후의 작품「소쇄원 48영」에 나타난 산수의 미적 표현 특성을 논하였다. 시단이 형성될 수 있었던 기저로는 정치적인 영향과 학풍의 성격에서 찾았다. 사화기의 사림파들은 중앙 정계 진출의 꿈은 잠시 접어두고 지방 향리에서 은거하며 학문을 연마하고 후진을 양성하는데 만족해야만 했으며,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집단적으로 학파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전남지역 학맥은 통상 송흠계열, 박상계열, 최부계열로 나뉜다. 이들 중 문학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시단을 형성한 학맥으로는 송흠과 박상계열로 귀결시켰고, 송흠보다는 박상계열이 더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보았다. 박상은 김종직을 종유했던 형 박정에게서 수학한 인물로 김종직의 학문이 문학과 경학으로 나뉠 때 문학을 주로 택하였으며, 그에게서 수학한 문인들이 시단을 주로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김인후는「소쇄원 48영」에서 소쇄원의 경물을 통해 조화와 탈속, 그리고 지속미를 추구하였고, 심지어 철리적인 내용까지 시에 담고자 하였다. 이는 외식에 치우치는 詞章보다도 본질을 추구하는 그의 문학관을 그대로 실천한 것으로 그의 명성에 걸맞게 문학에서 도학을 내보이려고 했음을 밝혀내었다. 15~6세기의 전남지역, 특히 무등산 주변에는 면앙정시단, 식영정시단, 서하당시단, 소쇄원시단 등이 있었다. 이곳을 드나들었던 문인들은 당시 사화의 와중에서 잠시 지방에 머무르며 시단을 형성했지만, 한문학적으로 보자면 당대를 대표할만한 인물들임은 확실하다. 이는 당시 문단을 주도했던 문인군단이 바로 전남지역에 있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는 단순히 지역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문단 전체의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문단을 풍부하게 만들었던 원동력이 바로 전남지역 시단에 있었던 것으로 규정하였다.
영문 초록
In 15~16th century, writers in Chonnam area took their parts in writing as a group, not individually. They were far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literary circle, but many of them were so powerful to exercise their influence over contemporary literary circle. This paper attempts to look over the aspect of poetry originated from Chonnam area, especially focusing on Ha-seo Kim In-hoo s , regarded as his masterpiece. Kim In-hoo pursued harmony, freedom and continuance, through the scenary of the season in Soswewon. He, even, tried to incorporate the philosophy in his poems. Through all his poems in this masterpiece, it can be said that he was the poet who pursued and expressed the nature, not external ornament in writing.
목차
Ⅰ. 머리말
Ⅱ. 시단형성의 기저
Ⅲ. 산수의 미적 표현: 김인후의 경우를 중심으로
Ⅳ. 시단의 한문학적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학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
- 擬人體 散文의 談論 方式과 그 特徵
-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北)道條 所載 詩文 硏究
- 慶南地域 漢文學에 대한 歷史的 考察
- 朝鮮後期 少論系 文學理論의 形成 背景(Ⅰ)
- 경북지역의 한문학 연구
- 崔致遠의 ‘大崇福寺碑銘’攷
- 시로 쓴 지방지 吳洲詩志
- ‘雙谷九曲’과 關聯 詩文에 대한 고찰
-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 頤齋 曺友仁의 ‘詞’에 대하여
- 15~6세기 전남지역 문인의 詩壇形成과 山水美 표현
- 서울 경기 지역 한문학의 특성과 변모 양상
- 한문학에 나타난 부산지역 문화전통의 특성
- 五臺山 인식의 역사적 변천과 문화사적 의미
- 여말선초 시문선집 편찬의식으로서의 東人의 文明意識 과 王化意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