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rmative backround of the literary theory of So-ron faction(少論系) in the la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김영주(Kim, young-ju)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26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문사상의 측면에서 少論系는 陽明學의 受容이라는 독특한 학적 전통을 수립하였다. 格物致知에 대한 이해의 부분에서, 그들은 이념에 치중한 天人論․性命論보다는 實踐躬行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징은 학문사상의 측면에만 국한되지 않고 政局運營의 原理로 활용되어 民生의 安定이나 현실적인 외교정책 수립 등의 現實政策으로 體現되었다. 현실에서의 實用性을 중시하는 少論系의 학적 전통은 그들의 문학이론에도 반영되었다. 그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문장의 변화를 긍정하는 바탕위에 道文의 相補的 혹은 相須的 가치를 인정하였다. 또한 그들은 문장 창작의 妙理의 체득을 위한 自得 및 神境의 創作理論을 주장하였다. 실제의 작품의 창작에서 그들은 敎化的 意義를 강조하는 朱子主義的 詩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 것에 대한 認識 그리고 개인의 情緖와 個性을 형상하고자 하였다. 그 한 예로 그들은 우리나라의 民謠, 時調, 方言, 俗言의 가치를 인식하여 歌․行․引․曲 등의 다양한 古體詩 양식을 활용하여 漢詩化하였다. 제재의 측면에서도 戀君․忠孝․別離․愛情․歎老 등의 다양한 제재를 폭넓게 수용하였다. 시에 사용되는 소재들 역시 일상의 주변에서 흔히 발견되는 소박하고도 다양한 것들을 채용하였다. 이와같은 少論系의 학적 전통과 문학이론은 보수적 경향이 농후한 동시대의 老論 및 南人系 문학이론과 구별되는 소론계만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ursuit of learning, So-ron faction(少論系) established a unique scientific tradition of the raception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In a understanding of ‘Gyeok-mul Chi-ji(格物致知)’ which was regarded as a introduction of Sung Confucianism, they showed an scientific inclination which attached importance to practical morality than ‘Cheon-yin theory(天人論)’, ‘Seong-myung theory(性命論)’. They put to practical use this peculiarity as a political belief. As a result, they established the stabilization of people s livelihood, practical foreign policy, and etc. So-ron faction(少論系) s unique scientific tradition was reflected in the literary theory. They consented to a change of a sentence with the times and approved the mutual worth of Doe(道) and Mun(文). And they insisted the theory of self-acquirement(自得) and Sin-geyong(神境) for the creative work. A practical writing in a creative work, they overcome a limitation of the edificatory doctrines of Chu-tzu s literary theory and tried to form the awareness of Cho-son type literature and individuality. For example, they expressed their impression to a korean fork-song, a shi-jo, a regional dialect and a common talk with ancient poetry form. In a field of material, they widely applied a various material like an loyalty and filial piety, love, seperation, a sigh for the oldness, a love for the king, etc. The material had a specific character of a simplicity, commoness.
목차
Ⅰ. 머리말
Ⅱ. 양명학 수용의 전통과 그 외현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학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
- 擬人體 散文의 談論 方式과 그 特徵
-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北)道條 所載 詩文 硏究
- 慶南地域 漢文學에 대한 歷史的 考察
- 朝鮮後期 少論系 文學理論의 形成 背景(Ⅰ)
- 경북지역의 한문학 연구
- 崔致遠의 ‘大崇福寺碑銘’攷
- 시로 쓴 지방지 吳洲詩志
- ‘雙谷九曲’과 關聯 詩文에 대한 고찰
-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 頤齋 曺友仁의 ‘詞’에 대하여
- 15~6세기 전남지역 문인의 詩壇形成과 山水美 표현
- 서울 경기 지역 한문학의 특성과 변모 양상
- 한문학에 나타난 부산지역 문화전통의 특성
- 五臺山 인식의 역사적 변천과 문화사적 의미
- 여말선초 시문선집 편찬의식으로서의 東人의 文明意識 과 王化意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