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Jae Cho Woo-In s Sa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조창록(Jo, Chang-roc)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26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頤齋 曺友仁(1561~1625)의 ‘詞’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詞’는 일종의 노랫말로, 문장과 음악의 중간에 있는 韻文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운문 양식은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국의 경우 唐代에서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창작되었다. 조우인은 한글가사의 작가로 알려졌으나, 또한 詞의 주요 작가로 손꼽을 수 있는 인물이다. 그는 詩文과 音樂에 조예가 깊었으며, 그것을 통해 삶의 수심과 울분을 풀어낸 것으로 보인다. 그가 지은 詞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먼저 조우인의 삶과 ‘詞’의 전반적인 성격을 살핀 다음, 그가 지은 7편의 詞를 감상해보았다. 원래 詞는 서정을 주로 하는 양식이라, 조우인의 작품 역시 소재는 다양하지만 그 주제는 작자 내면의 고독과 그리움, 삶의 근심을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정감들을 표출하는데 있어서 ‘詞’가 제격이었던 것이다. 다만 그것은 진지하지 못한 遊戱와 진부한 永嘆으로 빠지기 쉬운 단점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들에 대한 평가와 자리매김은 ‘詞’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진척된 후일을 기약하기로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will consider different looks of Sa(詞) of I-Jae(頤齋) Cho Woo-In(曺友仁; 1561~1625). As it is known well, Sa consists of words of song posited as a verse style that is between sentence and tune. Sa was not much popular in Korea, meanwhile since Tang(唐) dynasty, it had been widely created until modern China. Cho Woo-In is known not only a poet of Korean verse(歌辭) but also is considered one of the important authors of Sa. He had deep knowledge of prose, poetry, and music through which he attempted to dispel anxiety and anger he faced in his life. Therefore, his Sa must be explained in this context. I consider the life and the literary meaning of his Sa, and then appreciate his seven poems. As Sa was based on the lyric passion, Cho Woo-In s Sa also mostly disclosed solitude, affection and anxiety of his life. It was for him that Sa was the most proper way to express these feelings above.
목차
Ⅰ. 머리말
Ⅱ. 삶과 문예
Ⅲ. 사 의 세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학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
- 擬人體 散文의 談論 方式과 그 特徵
-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北)道條 所載 詩文 硏究
- 慶南地域 漢文學에 대한 歷史的 考察
- 朝鮮後期 少論系 文學理論의 形成 背景(Ⅰ)
- 경북지역의 한문학 연구
- 崔致遠의 ‘大崇福寺碑銘’攷
- 시로 쓴 지방지 吳洲詩志
- ‘雙谷九曲’과 關聯 詩文에 대한 고찰
-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 頤齋 曺友仁의 ‘詞’에 대하여
- 15~6세기 전남지역 문인의 詩壇形成과 山水美 표현
- 서울 경기 지역 한문학의 특성과 변모 양상
- 한문학에 나타난 부산지역 문화전통의 특성
- 五臺山 인식의 역사적 변천과 문화사적 의미
- 여말선초 시문선집 편찬의식으로서의 東人의 文明意識 과 王化意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