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iveness of Process-genre Approach on College English Writing Instructions
이용수 1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Yi Liu Yang-Hee Kim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7 No.4,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genre approach on EFL learners’ writing improvement. A total of 48 Chinese college freshm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high-level (n=20) and low-level (n=28) groups. All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by the same teacher in the College English class for 14 weeks, during which they were taught how to compose in three writing genres: narration, exposition, and argumentation. After comparing the writing scores of pre- and post-tests from both group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cessgenre approach is helpful in enhancing the EFL learners’ writing competence because both groups of students had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writing abilities. Besides, both group learners attained a salient achievement in expository writing after they were trained by the process-genre approach. Compared with the high-level learners, the low-level learners made larger progress in all three writing genres. It indicates that enough teaching time and teacher’s scaffolding systems are crucial for the learners’ writing development.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lI. Methodology
IV. Results
V. Discussion
VI.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iveness of Process-genre Approach on College English Writing Instructions
-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장애음의 발음과 표기 오류 원인 분석
-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NESs’ and NNESs’ Pronunciation
- Effect of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Feedback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vision Behavior
- 초등 교사와 예비교사의 영어 언어유희에 대한 인식
- 다문화교육 기반 초등 중국어교재 개발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