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장애음의 발음과 표기 오류 원인 분석
이용수 11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auses of pronunciation and spelling errors of initial obstruent words by foreign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민애(Yu, Min-ae)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7 No.4, 183~2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onetically if the spelling error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are related to learners’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plain, tense, and aspiration sounds of foreign Korean learners using a Praat.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ata produced by 18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 the beginner lev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eign Korean learn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errors in plain and aspiration sound among initial obstruent wor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xtremely strong or very weak pronunciation of the word, because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intensity of range in plain sounds. Second, the more accurate the learner’s perception was, the more accurate production can be made. Statistic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rate increased by 0.178 each time the perception rate increased by 1.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s establish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is a relationship that increases by 0.652 each time the pronunciation increases by 1. 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may often write words as they pronounce them.
목차
I. 문제 제기
II.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IV. 실험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iveness of Process-genre Approach on College English Writing Instructions
-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장애음의 발음과 표기 오류 원인 분석
-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NESs’ and NNESs’ Pronunciation
- Effect of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Feedback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vision Behavior
- 초등 교사와 예비교사의 영어 언어유희에 대한 인식
- 다문화교육 기반 초등 중국어교재 개발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