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4
- 영문명
- A study on the operations and preferences of 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ourses at an engineering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남지영(Nam, Ji Young)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7 No.4, 73~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related factors for two general English courses, one course focusing on reading and another on conversation, with students divided by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participants were 554 students at an engineering university. A 4-point Likert-type scale was used to record general tendency. Students were evaluated and divided into three and four proficiency levels for the reading and conversation course, respectively. 88.1% of participants had a favorable opinion of the level-divided conversation course, and 87.7% had a positive view of the level-divided reading course.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other factors such as sex, favorable feelings toward English, students’ majors, and English proficiency. The chi-squar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and factors like sex or fondness for English.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ajors and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for both the conversation and reading courses as well as a p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eading course. The participants lik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divided course content and the tailoring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iveness of Process-genre Approach on College English Writing Instructions
-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장애음의 발음과 표기 오류 원인 분석
-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NESs’ and NNESs’ Pronunciation
- Effect of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Feedback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vision Behavior
- 초등 교사와 예비교사의 영어 언어유희에 대한 인식
- 다문화교육 기반 초등 중국어교재 개발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