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y and attitude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지(Kim, Eun-Ji) 이은주(Lee, Eun-Joo)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7 No.4, 119~1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on developing learners’ writing skills and attitudes. For this purpose, fifty-fou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ormulaic sequences with the corpus-based method, while the control group learned the target items through the definition-centere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was found between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and traditional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The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showed a greater effect on improving grammatical accuracy of writing. The traditional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was effective in the acquisition of productive knowledge of formulaic sequences. The results of the survey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which may mean corpus-based lear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students’ motivation.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various corpus-based activities for EFL class need to be develop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iveness of Process-genre Approach on College English Writing Instructions
- 코퍼스를 활용한 정형어구 학습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장애음의 발음과 표기 오류 원인 분석
-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Korea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NESs’ and NNESs’ Pronunciation
- Effect of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Feedback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vision Behavior
- 초등 교사와 예비교사의 영어 언어유희에 대한 인식
- 다문화교육 기반 초등 중국어교재 개발 방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