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 실행 요인 관점에서 고찰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연구
이용수 99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of the KS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아(Park, Jung-a)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7 No.3,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in what directions the 2017 KSL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ield. To this end,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actors, direction of action, validity, clarity, and feasibility factors,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1) From the action direction factor, it should be designed as a framework in which teachers can reconstruct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adaptation. (2) In terms of validity,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2017 KSL curriculum c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be cross-referenc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is curriculum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or other curriculum. (3) In terms of clarity, the contents of culture and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must b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pecify the detail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each school level and Korean level. (4) In terms of feasibility factors, it is suggeste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curriculum operated as a grade-free system, and to provide a curriculum manua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rrective Feedback and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s of Interdisciplinary Study Through English-Medium Instruction
- 예능 프로그램 [77억의 사랑] 외국인 출연자의 담화분석을 통한 한국어 부정문 사용양상 연구
- 대학생의 영어 학습동기와 전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 실행 요인 관점에서 고찰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연구
- 2015 개정 초등 6학년과 중등 1학년 간 영어 교과서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 분석
- 학습자의 평가 준거 개발 참여가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Songs in EFL Classroom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