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동과 코드변환 측면에서 살펴 본 TEE 쓰기 수업의 문제점
이용수 2
- 영문명
- Problems with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n terms of writing activities and code-switching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Ko, Jungmi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2 No.1, 255~2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problems with a TEE class in terms of classroom activities and code-switching. One middle school teacher and he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eacher taught a writing class in TEE context. She taught more than half of the class in English. Her students experienced different interactional patterns in four different activities. However, most of the students could not participate both in pair work and group work without her teacher’s help. That was because the teacher had problems with giving instructions: (1) her instructions about the activities were not clear enough; (2) she did not provide any modelling for the activities; and (3) she did not check any clarifications for the activities. Also, the ratio of the teacher’s utterance to students’ was too high: 96% in English and 89.5% in Korean. In addition, she did not use any pause in code-switching from English to Korean, deprived of checking whether her students understood the target language input given in English.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E와 NEAT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 초등학생 영어 읽기에서 운율감과 독해력의 상관 분석
- 영어 소설 활용 독후 활동을 고등학교 수업에 접목하기 위한 실행연구
- 활동과 코드변환 측면에서 살펴 본 TEE 쓰기 수업의 문제점
- Teacher Feedback, Tasks, and Learner Uptake in EFL Classrooms
- Age Constraints on L2 Learners’ Processing of Derivational Morphology
- 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 품사 분석 연구
- 패턴 중심의 초등영어 쓰기학습 모형 개발
-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음독 유창성 분석
- The Influence of L1 Constraints on L2 Sound Perception
-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거꾸로 수업(flipped class) 교수법 적용 후 정서적 경험, 학업성취도와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의 효과
- 초등 영어 문해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 교수법 비교
-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2 No.1 목차
- 영어로 가르치는 초급프랑스어 수업의 개발 방안과 시사점
-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 연계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