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ays to develop a beginning French course in English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이정(Choi, E-Jung)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22 No.1, 305~3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evelopments of a beginning French course conducted in English at a Korean university setting. We can best understand the need for developing this course o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where English is taught at as early as primary school and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subject throughout the university level. In this beginning French course, teachers need to maximize the positive transfer from English to French, as both languages are typologically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doing so, they need to have positive attitudes and a good mastery of classroom English and everyday English, and have to structure each class so that students can anticipate the progression of the class. In addition, they need support in terms of the developments of textbooks and class activities from their colleagues and native-speaker English instructors. Schools also need to offer English language workshops regularly both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class.
영문 초록
Le présent article a pour but de montrer l’intérêt d’un cours de français débutant en anglais à l’intention des étudiants coréens d’un point de vue théorique, et de présenter les moyens concrets pour mener ce cours. La théorie de base sur laquelle il s’appuie est le transfert positif entre l langues typologiquement proches. On peut bien comprendre le besoin de ce cours en réfléchissant au système éducatif en Corée où l’anglais est enseigné dès l’école primaire et est perçu comme une matière très importante jusqu’à l’université par les étudiants. Ce cours suppose qu’un apprentissage plus efficace du français peut passer par l’utilisation de l’anglais, comme langue d’enseignement, plus proche du français que du coréen au niveau typologique, et ainsi censé être plus propice à initier l’apprenant aux spécificités du français. D’abord, il est important que les enseignants structurent chaque cours de telle manière que les élèves anticipent son déroulement. De plus, il est important que les enseignants aient une attitude positive et une bonne compétence en anglais oral, y compris l’anglais de classe. Au niveau universitaire, les enseignants auront besoin de lieu d’échange et de soutien pour partager les idées sur ce cours et sur la mise en œuvre du manuel approprié à ce type de cours. Dans ces efforts, on peut aussi offrir des ateliers d’anglais régulièrement non seulement pour les enseignants mais aussi pour les élève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접근
III. 교수자의 자세
IV. 수업의 진행방법
V. 수강생 반응
VI. 교수자와 대학교에의 시사점
V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2 No.1 목차
- 영어 소설 활용 독후 활동을 고등학교 수업에 접목하기 위한 실행연구
- 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 품사 분석 연구
-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거꾸로 수업(flipped class) 교수법 적용 후 정서적 경험, 학업성취도와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의 효과
-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음독 유창성 분석
- TEE와 NEAT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 패턴 중심의 초등영어 쓰기학습 모형 개발
- 영어로 가르치는 초급프랑스어 수업의 개발 방안과 시사점
-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 연계성 분석
- 초등학생 영어 읽기에서 운율감과 독해력의 상관 분석
- The Influence of L1 Constraints on L2 Sound Perception
- Teacher Feedback, Tasks, and Learner Uptake in EFL Classrooms
- Age Constraints on L2 Learners’ Processing of Derivational Morphology
- 초등 영어 문해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교수법과 총체적 언어 교수법 비교
- 활동과 코드변환 측면에서 살펴 본 TEE 쓰기 수업의 문제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