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환경교육 실태 및 환경교육내용 중요도 인식
이용수 180
- 영문명
- The Actual Condi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제지원(Jae, Ji Won) 정수진(Jeong, Su Jin)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 환경교육 실태와 환경교육내용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는 데 있다. 유아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환경교육은 생활주제와 연계해서 실시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활동형태는 이야기나누기, 현장학습, 바깥놀이의 빈도가 높았고, 활용자료는 인터넷, 출판도서, 시청각 자료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 지도 시 내용 선정 및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수방법의 어려움이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과정 구성, 참고자료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환경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았고, 연령과 경력이 많고, 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기관이 국공립 유치원인 경우 환경교육 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환경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ed through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life themes was high. The activity type was high in the large-group discourse, field learning, and outdoor play, and the use material was found to be using internet, books, and audiovisual material. It was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 contents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to teach them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 level. The problems were the systematic curriculum composition, lack of reference materials. Seco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as generally high,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as highly recognized in the case of high age, career, and academic background and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et the desirabl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