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기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학령 초기 ADHD와의 관계에서 관련변인의 구조관계분석

이용수  99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in Early Childhood and Eearly School-age ADHD: Warm Caregivng, Learning Readiness, Social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원혜숙(Won, Hye Sook) 신현자(Shin, Hyeon ja) 박춘성(Park, Chun seong)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69~8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온정적양육, 아동의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기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학령초기 ADHD와 정적상관을 보이고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기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은 학령초기 ADHD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기 부부갈등은 유아기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 학령초기 ADHD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여러 경로를 통해 학령초기 ADHD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셋째, 가장 효과적인 경로는 부부갈등이 온정적양육, 사회적유능감, 학습준비도의 순서를 통해 학령초기ADHD로 가는 경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높은 부부갈등은 낮은 온정적양육, 학습준비도, 사회적유능감을 통해 학령초기 ADHD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warm caregiving, and children s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perceived by mothers to ADHD symptom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s Panel were used. As a result, first, the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in early childhoo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HD in the early years of school age, and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and the social competence.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and the social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rly school-age ADHD. Secondly, the marital conflict in early childhood had a direct effect on the warm caregiving, the learning readiness, the social competence, and the early school-age ADHD,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routes. Thirdly, as the most effective route, the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the path leading to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the order of warm caregiving, social competence, and learning readines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high marital conflict has an effect on early school-age ADHD through low warm caregiving,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혜숙(Won, Hye Sook),신현자(Shin, Hyeon ja),박춘성(Park, Chun seong). (2021).유아기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학령 초기 ADHD와의 관계에서 관련변인의 구조관계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5 (3), 69-89

MLA

원혜숙(Won, Hye Sook),신현자(Shin, Hyeon ja),박춘성(Park, Chun seong). "유아기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학령 초기 ADHD와의 관계에서 관련변인의 구조관계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5.3(2021): 69-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