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19의 부정적 영향과 회복을 위한 교육적 과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397

영문명
A study on the negative impact of COVID 19 and educational challenges for recovery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김창환(Kim, Chang Hwan)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113~13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 19는 전 세계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이 학교에 등교하지 못하고 집에 머무르면서 친구들을 만나지 못하고, 움직임이 줄어들고, 미디어에 의존하는 등 조화로운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수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온라인수업은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습의욕을 자극시키는데 한계가 있었고, 따라서 자연스럽게 학습결손과 학력저하를 불러일으켰다. 코로나 19로 인해 돌봄, 결식, 온라인 교육환경, 심리정서, 학업성취도 등 모든 측면에서 취약계층 학생들은 더 큰 고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가 학생에게 미친 다면적인 부정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코로나 19 회복을 위해 통합적 접근, 장기적 접근, 취약계층을 위한 강력한 우대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체건강 회복, 심리정서 회복, 학습격차 해소, 취약계층 지원, 코로나 취약계층(신 취약계층) 지원, 학습당 학생수 적정화 등의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COVID-19, which started in early 2020, has had a major impact on students around the world. Students were unable to attend school and stayed at home, not meeting their friends, reducing movement, and relying on media, which had a negative impact on harmonious growth and development. Also, due to the COVID-19 outbreak, students were forced to take online classes. However, online classes had limitations in stimula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hus naturally caused learning deficits and academic decline. Vulnerable students in all aspects, such as care, lack of meals,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suffering more from COVID-19.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faceted negative effects of COVID-19 on students. Based on this, I emphasiz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a long-term approach, and strong preferential policies for the vulnerable to recover from COVID-19. In addition, policy tasks such as physical health recover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covery, learning gap closure,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support for the corona-vulnerable class (new vulnerable class), and optimiza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learning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코로나 19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환(Kim, Chang Hwan). (2021).코로나 19의 부정적 영향과 회복을 위한 교육적 과제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5 (3), 113-133

MLA

김창환(Kim, Chang Hwan). "코로나 19의 부정적 영향과 회복을 위한 교육적 과제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5.3(2021): 113-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