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시기 한국교회의 교육목회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Educational Ministries in Korean Churches amid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원(Sung-Won Kim) 서은선(Eun-Sun Suh)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65집, 103~1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사역에서 모델이 되는 교회를 규모별로 선택하여 코로나 시기에 실시한 사역을 조사함으로 미래 교회사역의 방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4개 교회 목회자의 사역 경험이 자료의 주된 출처가 된 사례연구를 활용했다. 교회마다 독특한 사역이 실행되었지만 새벽 특별기도회 가족예배 가족단위 별 여름성경학교 성경쓰기 또는 읽기 프로그램 온라인 제자훈련 프로그램 등이 일반적이었다. 이 밖에도 각 교회에서는 토크쇼 번개팅 보이는 라디오 전 교인의 성경 필사본 제작 등 교회의 특징 및 필요 그리고 코로나 시기의 특성을 반영한 특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의 목회철학을 반영한 목회 프로그램 실시 공동체 의식 강화 가족의 영적 기능 회복 온라인 교수법 활용 소외계층에 대한 심리적 지원 등이 교육목회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이 외에도 기독교의 공공성 회복과 교단이나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시대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과 온라인 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future Christian ministry by examining the educational/pastoral ministries of Korean churches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study used the case study method, where pastors from four different churches were the primary sources of data. Although each church has its own unique ministry, special early morning prayer meetings, family worship services, family Vacation Bible Schools, Bible writing and reading programs, and on-line discipleship training programs were common. In addition, each church implemented special programs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urch, like a talk show, visible radio, surfing meeting, and book-making of Bible manuscripts. Based on these results, ministry programs reflecting the church s pastoral philosophy, strengthening community consciousness, restoring the spiritual function of the family, utilizing online teaching methods,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are proposed. In addition, the recovery of Christian publicity and the help from denomination or specialized institutions to develop the programs and online materials were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educational/pastoral ministry in a time of COVID-19 and post-COVID-19 is proposed.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IV. Discussion
V. Conclusion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