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학과 신학의 융합 교육과정 개발, 의료선교의 역사적 사례, 연구개발 성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Design of Convergence Curriculum, the Historical Case of Medical Mission and the Research Initiative Outcome of Medicine and Theolog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손문(Moon Son)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65집, 133~1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의 상황 속에서 우리 사회의 취약성에 주목한다. 중증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019는 사스-코비드-2 바이러스의 심각성을 파생하고 그것의 의학적 치료 속에서 새로운 회복 탄력성의 희망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기독교 여성실천신학의 생태적 관계 속에서 사회와 환경의 지속가능한 회복 가능성을 제공한다. 연구자는 코로나-19 시대의 침체와 우울감을 절망과 통합의 기독교교육적 내러티브 속에서 해석학적 대안으로 제안한다. 특히 의학과 신학의 융합교육 과정 개발은 노인세대를 위한 의료선교와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교육적 모형으로 제네바대학교가 제공하는 역사적 사례로서 칼빈의 MOOC 강좌를 사례를 통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의학과 신학의 융합 교육과 연구의 개발 성과는 코로나-19의 심각성을 극복하며 신앙공동체의 새로운 회복과 복지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도덕적 함의를 제공함으로 의미 있는 공헌을 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vulnerability of our society and environment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e medical descriptions about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disease 2019 provide the serious manifestation of the SARS-CoV-2 virus and a new resilient hope of its vaccination. Moreover, with the perspective of feminist practical theology, the author explores a resilient possibility to reconstitute an 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our society and environment. In addition, many people’s depression in the time of Covid-19 is understood in the meaningful narra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ity and despair to be stressed by Erikson in the perspective of Loder.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ain stream of designing the convergence curriculum of medicine and theology to move toward the life wellbeing of community members, overcoming their difficult circumstances such as Covid-19.
목차
I. Introduction: Covid-19 and Its Initiative Outcome of Medicine and Theology
II. The Convergence Case of Medical Mission for Older People’s Depression and Christian Hope
III. The Design of 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for Research Initiative
IV. The Historical Approaching the MOOC of Calvin in the Holy Trinity for the Untack and Virtual Generations of Covid-19 Pandemic
V. Conclusion: Toward a New Moralit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Time of Covid-19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