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회교육을 위한 인성교육의 중요성
이용수 5
- 영문명
-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Churc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한상진(Sang-Jin Han)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40집, 167~1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교회는 성경의 가르침 같은 지식적인 측면을 강조했으나, 신앙적인 삶의 가치나 태도, 실천의 측면에서는 경시되어져 왔다. 교회교육은 성경의 지식으로만 인간의 삶과 관계된 구원의 진리에 이르게 하는 데는 불완전하므로, 지·정·의·성이 연합된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하나님의 교육 안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교회교육이 도와야 한다. 기독교 인성교육은 인간의 본성을 새롭게 창조할 능력의 말씀으로 교육하여 교회공동체에 도덕적, 윤리적인 행동양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교육을 매개로 각성과 회개를 하게 되고, 영혼 깊은 곳에서 참 기쁨을 누리게 되는 동시에 타인의 영혼 깊은 곳을 각성시키게 된다. 이렇게 인성교육은 영혼의 깨달음과 함께 내면을 각성함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이웃을 사랑함 가운데서 소망의 삶을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은 교회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하여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이웃을 향한 사랑이 실천되어지는 삶으로 인도되면서, 창조주 되신 하나님의 창조의 목적대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살아야 한다.
영문 초록
Korean churches have always emphasized the aspect of knowled-ge but they have neglected essential life- values of emotional and voli-tional aspects such as the value and attitude towards christian life and the exchange of conscience.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incorporated with knowledge, emotion, volition, and sanctit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priority in the God’s education because Biblical knowledge alone is incomplete and can be just reached to the truth of salvation, Christian personality education makes church com-munities take up the patterns of ethical and moral behavior and recre-ate human nature through Gods word. Man awakens and repents by the education of God, and thereby not only enjoying genuine pleasure in the depth of his spirit, but also stimulating the depth of others. Thus, he begins to seek the life of hope and love for his neighbors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the spi-rit and inner awakening by the education. If Personality education in church education is conducted and led with intentions of practical life full of love towards God and neigh-bors, man ought to lead the life giving glory to Go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reator.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하나님 교육의 도구로서의 교회
III. 한국교회교육의 현상
IV. 교회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의미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향한 홍순명의 사상과 실천
- 개혁주의 기독교교육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 최근 미국교회 교회교육의 새로운 동향 연구
- 정서의 인지이론과 기독교적 정서 형성 교육
-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감정코칭상담기법을 활용한 부모교육의 요구 분석
- 목회자 사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섬김의 리더십으로 조명한 기독교교육의 원리
- 통전적 영성 형성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교회교육
- 성경교수학의 토대를 위한 성경 해석 방법론 고찰
- 한국의 기독교 평화교육의 연구 경향과 미래적 과제
- 교회교육을 위한 인성교육의 중요성
- 영상미디어 시대의 포스트모던 기독교 성인 교육
- 신학교육 공간이 된 ‘기독교 생명과 정의의 도보순례’
- 고령화시대 교회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과 당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