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향한 홍순명의 사상과 실천
이용수 23
- 영문명
- Hong Sunmyung’s Thoughts and Efforts for the Idealized Village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영택(Young-Taek K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40집, 231~2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남 홍성군의 홍동마을이 생태적인 자치마을로 발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으로 기독교학교인 풀무학교가 있었다고 보고, 평생을 풀무학교와 함께 하면서 마을공동체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해온 홍순명의 사상과 실천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홍순명은 더불어 사는 평민교육, 생명과 평화교육, 생명을 존중하는 농업 교육,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평생교육, 마을과 함께하는 학교 등을 중요한 교육사상으로 삼고 교육자와 공동체운동가로서 살아왔다. 그는 이러한 생각들을 토대로 풀무학교가 위치한 홍동마을을 생태적이고 자치적인 마을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마을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그의 실천적 노력은 오래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협동조합운동에서 잘 나타나고, 풀무학교 전공부의 개교와 마을도서관 설립을 위한 노력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Hong Sunmyung realized his thoughts of building a village community. The explora-tion of his thoughts and the steps he took to achieve them will eluci-date the process by which Poolmoo school and Hongdong village, a good model in our society. Hong Sunmyung has lived as a educator and community practitioner based on such main thoughts as educa-tion for common people living together, education for life and peace, agricultural education valuing life, lifelong education for sustainable society, and school embracing village. He has utilized various strat-egies in his efforts to build an ecologically sound, autonomous village formed around Poolmoo school. He has involved in co-op move-ments an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oolmoo agricultural college and the village library. This article is meant to provide, through the analysis of Hong Sunmyung’s efforts and educational thought, insight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ommunity building.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이승훈과 마을공동체
III. 홍순명의 사상과 실천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향한 홍순명의 사상과 실천
- 개혁주의 기독교교육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 최근 미국교회 교회교육의 새로운 동향 연구
- 정서의 인지이론과 기독교적 정서 형성 교육
-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감정코칭상담기법을 활용한 부모교육의 요구 분석
- 목회자 사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섬김의 리더십으로 조명한 기독교교육의 원리
- 통전적 영성 형성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교회교육
- 성경교수학의 토대를 위한 성경 해석 방법론 고찰
- 한국의 기독교 평화교육의 연구 경향과 미래적 과제
- 교회교육을 위한 인성교육의 중요성
- 영상미디어 시대의 포스트모던 기독교 성인 교육
- 신학교육 공간이 된 ‘기독교 생명과 정의의 도보순례’
- 고령화시대 교회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과 당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