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9
- 영문명
- Developing and adapting church education program by smart problem-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남선우(Sun-Woo Na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40집, 449~48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사회에 전반적인 영역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지식구성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은 기독교 교회교육도 예외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교회교육의 대상자들 또한 변화를 추구하는 일반교육의 환경 속에서 새로운 방식에 의해 새로운 지식 구성을 시도하고 있으며, 적응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교회교육의 모습은 과연 이와 같은 변화를 얼마나 수용하고 있는지 반문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회교육의 다음세대인 기독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식기반사회 속에서 새로운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문제기반학습을 근간으로 새로운 학습매체로 등장하고 있는 스마트 테크놀로지 교육환경을 활용한 스마트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 새로운 시대 속에서의 대안적 기독교 교회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청소년부(중고등부) 출석 인원 10명 이하인 7개소의 소형교회를 대상으로 청소년 33명과 교사 10명이었으며, 연구 결과 만족도, 신앙의 내면화, 스마트 기기 활용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이 새로운 시대의 대안적인 기독교 교육방법의 하나로서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
영문 초록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ed to many changes in the overall modern society. Especially, the technical development brought the radical changes in knowledge construction. These changes allows educators to attempt new know-ledge constituted by the new metho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apt them out. Even the needs for a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not be an exception in the Christian church education. However, we should try to question ourselves how well the today’s church eduction is accommodating these needs. In this matter, this study attempt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throughout developing and applying a smart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o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 youth. A smart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s a new learning medium that is de-veloped by using smart technology education environment which has emerged as a new way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in knowledge-based society. The subjects were 33youth students and 10 teachers, who came from seven small churches at which 10 or fewer students are attending.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e positive responses at satisfaction in the program, inter-nalization of faith, and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hurch education by smart problem-based learning can be expect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in a new era.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III.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IV. 연구 결과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향한 홍순명의 사상과 실천
- 개혁주의 기독교교육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 최근 미국교회 교회교육의 새로운 동향 연구
- 정서의 인지이론과 기독교적 정서 형성 교육
- 스마트 PBL에 의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감정코칭상담기법을 활용한 부모교육의 요구 분석
- 목회자 사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섬김의 리더십으로 조명한 기독교교육의 원리
- 통전적 영성 형성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교회교육
- 성경교수학의 토대를 위한 성경 해석 방법론 고찰
- 한국의 기독교 평화교육의 연구 경향과 미래적 과제
- 교회교육을 위한 인성교육의 중요성
- 영상미디어 시대의 포스트모던 기독교 성인 교육
- 신학교육 공간이 된 ‘기독교 생명과 정의의 도보순례’
- 고령화시대 교회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과 당면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