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인의 차생활 여가관여와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0
- 영문명
- Effect of Personal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최배영(Bae-Young Choi) 임태희(Tae-Hee Im) 이영욱(Young-Wook Lee) 배보람(Bo-Ram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7권 제2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차생활 여가에 대한 관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차생활 여가관여와 삶의 질 사이에서 발휘되는 차생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및 지방권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6일부터 7월 20일까지 모바일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개인의 차생활여가관여는 평균 3.94점(5점 만점 중)으로 보통 수준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차생활 여가가 개인에게 즐겁고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인의 차생활 여가만족은 평균 4.06점(5점 만점 중)으로 비교적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정서적 안정, 휴식, 편안함의 만족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개인이 느끼는 삶의 질은 평균 3.73점(5점 만점 중)으로 보통 수준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차생활 여가관여와 삶의질에 대한 차생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차생활 여가관여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점이 확인되었고, 차생활 여가관여가 차생활 여가만족에 영향을 주고 그 영향력이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완전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and quality of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mobile survey from July 6 to July 20, 2020, targeting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living in Korea. The survey had 233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isure involvement in tea life among participants was 3.94 points (out of 5), which was above average. This result confirms that people recognize tea life as an enjoyable and important activity. Second, leisure satisfaction in tea life among participants showed a relatively high trend with an average of 4.06 points (out of 5), which indicates that people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relaxation, and comfort. Third, the quality of life among participants was 3.73 points (out of 5),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Fourth,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confirmed that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at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improve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through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19세기 영국의 차세(茶稅) 징수가 차 소비에 미친 영향
-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머위잎 첨가식이가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 다류 소재 개발을 위한 원산지별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의 항산화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 녹차 함유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의 비만세포 분화 생육 억제 효과
- 케냐산 홍차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 대구지역 젊은 여성에서 음료섭취와 식사패턴의 관련성
- 개인의 차생활 여가관여와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