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머위잎 첨가식이가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5
- 영문명
-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m Leaf on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Male Rat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박영은(Young-Eun Park) 최미자(Mi-Ja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7권 제2호, 45~5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머위는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특히 머위 잎에는 푸키놀릭산, 플라본 글리코시드, 페닐프로페놀 술폰산 등의 폴리페놀이 풍부하며 참취나 씀바귀에 비해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다. 이처럼 무기질과 기능성물질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머위는 옛날에는 새순은 말려서 달여 마셨고 최근에는 말린잎 외 티백 형태의 차로 판매되고 있다. 폴리페놀과 칼슘이 풍부하여 골대사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되나 다량의 식이섬유는 칼슘흡수를 저해시키므로 골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머위가 골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6주간 10% 머위잎첨가식이를 섭취시켜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rosslinks value는 대조군에 비해 머위잎첨가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없었다. 척추 골밀도 및 골무기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이 충분한 상태의 성장기수컷 쥐에서 칼슘과 폴리페놀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머위잎 10% 첨가 식이는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말린 머위잎을 그대로 섭취한 경우이며, 머위잎을 우려서 마시는 경우식이섬유의 섭취가 감소하게 되므로 머위 추출물이나 머위를 우려서 마시는 머위차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Petasites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on the bone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in growing male rats. Sixteen Sprague-Dawley male rats (body weight 50 ± 10 g)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P. japonicum leaf group. All rats were given deionized water and diet ad libitum for six weeks. The P. japonicum leaf was added to the AIN-93G at 100 g/kg diet. The BMD (bone mineral density) and BMC (bone mineral content) were measured using PIXImus (GE Lunar Co, Wisconsin). The calci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in the serum and deoxypyridinoline (DPD), creatinine, and urinary crosslinks value were estimated. The data are presented as the means ± SDs, and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0.0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3 (SAS Institute). The food intake,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similar in the two diet groups. The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unaffected by the P. japonicum leaf diets. The serum ALP and urinary DPD, and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 japonicum leaf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 japonicum leaf group had a lower crosslinks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ne and femur BMD and BMC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rats. P. japonicum leaf supplementation (10%) did not affect the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19세기 영국의 차세(茶稅) 징수가 차 소비에 미친 영향
-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머위잎 첨가식이가 골대사 지표와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 다류 소재 개발을 위한 원산지별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의 항산화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 녹차 함유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의 비만세포 분화 생육 억제 효과
- 케냐산 홍차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 대구지역 젊은 여성에서 음료섭취와 식사패턴의 관련성
- 개인의 차생활 여가관여와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