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녹차 함유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의 비만세포 분화 생육 억제 효과

이용수  132

영문명
Inhibitory Effects of Strictinin and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 Isolated from Green Tea,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발행기관
한국차학회
저자명
반유진(Eu-Jin Ban) 송시훈(Sihun Song) 최수영(Su-Young Choi) 이동준(Dong-Jun Lee) 문제학(Jae-Hak Moon) 김선재(Seon-Jae Kim) 김성학(Sung-Hak Kim) 조정용(Jeong-Yong Cho)
간행물 정보
『한국차학회지』제27권 제2호, 36~44쪽, 전체 9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녹차는 지방분해 및 에너지 소비촉진, 지방 생성 억제, 그리고 지방 흡수 억제 등을 통해 비만 예방 및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의 대표적인 유용성분인 catechin류 또한 비만 예방 효과가 우수하고, 녹차 함유 polysaccharide류와 caffeine 또한 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에 함유된 2종의galloyl 형 tannin 화합물들을 분리 및 구조해석하였으며, mouse fibroblast 3T3-L1 cell에서 이 화합물들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화합물 1과 2는 Amberlite?? XAD-7 column chromatography and ODS-MPLC 를 이용하여 녹차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ESI-MS 및 1D-NMR 분석을 통해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ide로동정되었다. 화합물 1과 2를 3T3-L1 cell에 처리하였을 때, 지방 세포 분화를유도하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2 (PPARγ2)과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의 발현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이 화합물들은 지방세포에서 adipokine으로 작용하는 adiponectin 및 leptin의 발현도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과 2는 10과 20 μM의 두 농도 모두에서 3T3-L1 cell 의 지방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들의 발현을 강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과 2의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는 거의 유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Catechin류는 녹차의 대표적인 항비만 효과를 갖는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ide는 catechin류와 더불어 녹차의 비만 예방 또는 억제에 기여하는 유용성분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wo bioactiv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from green tea by applying Amberlite?? XAD-7 column chromatography and ODS-MPLC. Based on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to be strictinin (1) and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 (2). Inhibitory effects of 1 and 2 on adipogenesis of mouse fibroblast 3T3-L1 cells were subsequently evaluated. These compounds reduc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2 (PPARγ2) and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dditionally, exposure to both compound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s of adiponectin and leptin, and strongly inhibite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1L cells at concentrations of 10 and 20 μM. Similar anti-adipogenic effects were observed for both compounds 1 and 2. Catechins are known potential candidates for application as anti-obesity agents. Our results indicate the partial contributions of strictinin (1) and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 (2) to the anti-obesity effects of green tea.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유진(Eu-Jin Ban),송시훈(Sihun Song),최수영(Su-Young Choi),이동준(Dong-Jun Lee),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김성학(Sung-Hak Kim),조정용(Jeong-Yong Cho). (2021).녹차 함유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의 비만세포 분화 생육 억제 효과. 한국차학회지, 27 (2), 36-44

MLA

반유진(Eu-Jin Ban),송시훈(Sihun Song),최수영(Su-Young Choi),이동준(Dong-Jun Lee),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김성학(Sung-Hak Kim),조정용(Jeong-Yong Cho). "녹차 함유 strictinin과 1,4,6-O-trigalloyl-β-D-glucopyranose의 비만세포 분화 생육 억제 효과." 한국차학회지, 27.2(2021): 36-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