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의 의미
이용수 406
- 영문명
- The meaning of supporting child care centers experienced by mothers of infant chil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child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희(Lee Mi Hee) 김언경(Kim Eo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839~8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의 지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함으로써 영아기 적응프로그램과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낸 경험이 있는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형태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총 5주 동안 각 3회씩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회당 30분~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의 내용은 모두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전사된 면담의 내용은 개방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이를 범주화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의 지원은 ‘처음인 부모와 아이에게 정서적 지원하기’, ‘부모 역할과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 지원하기’였다. 둘째,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의 의미는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처음이었던 과정의 문턱 넘어서기’, ‘함께 키우는 우리 아이’로 나타났다.
결론 어린이집 적응 과정은 영아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적응해나가는 과정으로 어린이집에서는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개별적인 요구를 수용하는 정서적 지원을 통해 신뢰감을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적응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각 가정의 상황에 맞는 자녀 양육과 부모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부모와 함께 협력하여 영아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s the child care center support experienced by mothers of infant children in the adaptation process, and by analyzing what it means, we wan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infant child adaptation programs and parent education.
Methods For this study,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mothers who had sent their infant children to child care centers. The interview was held three times each for a total of five weeks, and it took 0.5 to 1.5 hours per meeting. All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content of the transcribed interviews was categoriz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open coding method.
Result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support of child care centers experienced by mothers who send infant children to child care centers in the adaptation process is ‘Emotional support for the first-time parents and children.’, ‘Supporting information about parental roles and child-rearing.’ Second, the meanings of that support are ‘Crossing the threshold of a process that was first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Our children that we raise together.’.
Conclusions The adaptation process of child care centers is that not only children but also parents adapt together, and child care centers should build trust through emotional support that accommodates individual needs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so that they can adapt stably. In addi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child-rearing and parental roles suitable for each family s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work together with the parents to ensure stable adjustment of the inf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청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무용교육의 실태와 제언
- 중학생을 위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의 개발 및 내적 타당도 검증
- 중학생의 국어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활동, 서술형⋅논술형 평가, 토의⋅토론활동 요인 분석
- 여성 결혼이민자가 자각하는 한국어 학습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인재전환을 위한 역량모델링
- R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포스트 휴먼시대 학습자중심 다학문기반 인성교육모델개발
- A Case Study Expl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emote English Speaking Class
- 외국인 학습자들의 고전 교육을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의 의미
- 코로나 시대 대학생활 기대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서비스 요인 탐색
- 간호대학생의 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도상훈련을 통한 임상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초등학생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수학 예비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연구
-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단회 채팅상담 만족과 불만족 경험에 대한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입생 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물구나무서기 동작수행 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감탄사 뜻풀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은퇴한 댄스스포츠 여성 선수들의 직업전환 과정 탐색
- J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추측 양태부사 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과 감사성향이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자기개발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독서 활동과 미디어 문식활동 참여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의미
-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 미치는 영향
-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입학유형별 대학적응, 전공 수업 가치부여, 사회경제적 상황 인식 및 자기효능감 연구
-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용서, 자아존중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상호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f Virtual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 수학 수업 관찰 도구 활용이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와 대처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 영유아교육분야에서 그릿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대학생활적응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초기 청소년들의 성지식과 성인지감수성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동향 분석
- 한국의 인성교육 정책 동향 탐색
- 전통음악 중심의 STEAM 교육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국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자유놀이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 귀주성 초등학생의 피아노 교습경험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제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교과서 추론 과제분석
-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및 문화성향 간의 관계
-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인성 변화 인식 연구
-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