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예비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연구
이용수 264
- 영문명
- Designing Mathematical Tasks Inclu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영(Park, Mi-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787~8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맥락으로 하는 수학적 모델링 과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사회쟁점을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선정하고 사회 비판적 관점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개발을 통해 예비교사에게 학교현장에 적합한 과제개발과 자율적 실천 역량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실행연구를 기반으로 서울 소재 중등 수학 예비교사 38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목표에 대한 이해,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예비교사교육이 실시되었고, 그 결과 38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수학적 모델링 과제와 모둠별 예비교사들의 개발과정과 소감문을 작성한 보고서 13부가 결과물로 도출되어 분석되었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목표 17개 중 ‘기후변화에 대응’ 목표를 맥락으로 가장 많이 선정하였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건강과 웰빙’, ‘불평등해소’가 등에서 쟁점을 선정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하려는 관점에서 맥락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였고, 사회 비판적인 모델링 관점에서 통계자료의 해석이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중등 수학 예비교사들에게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수학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인식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였으며, 다양한 사회적 쟁점 포함하는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 지역사회, 세계적 차원의 맥락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실천중심 수업역량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developing material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tasks connected to mathematics based on issues related to life to cultivate key concept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Methods This study is conducted as a part of development research in a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urse.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mathematical modeling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this study identified the guiding principles and the methods on how to develop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of context levels to practice the SDGs.
Results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experience diverse social issues which they were unaware of in daily life. A variety of controversial topics such as nuclear energy development and disposal matter, reduction of marine product output due to overfishing young fishes, economic inequality due to income growth-led outcomes, social inequality, and plastic island due to use of disposable plastic and unable to discard them effectively appeared in mathematical tasks.
Conclusions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diverse social phenomena and mathematical connectedness through developing mathematical tasks in SDGs contexts. mathematical ability and creative and converging thinking of preservice teachers were cultivated by associating mathematical concepts used in item development and activities related to mathematics which converged knowledge of other subjects related to SD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청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무용교육의 실태와 제언
- 중학생을 위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의 개발 및 내적 타당도 검증
- 중학생의 국어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활동, 서술형⋅논술형 평가, 토의⋅토론활동 요인 분석
- 여성 결혼이민자가 자각하는 한국어 학습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인재전환을 위한 역량모델링
- R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포스트 휴먼시대 학습자중심 다학문기반 인성교육모델개발
- A Case Study Expl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emote English Speaking Class
- 외국인 학습자들의 고전 교육을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의 의미
- 코로나 시대 대학생활 기대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서비스 요인 탐색
- 간호대학생의 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도상훈련을 통한 임상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초등학생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수학 예비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연구
-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단회 채팅상담 만족과 불만족 경험에 대한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입생 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물구나무서기 동작수행 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감탄사 뜻풀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은퇴한 댄스스포츠 여성 선수들의 직업전환 과정 탐색
- J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추측 양태부사 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과 감사성향이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자기개발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독서 활동과 미디어 문식활동 참여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의미
-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 미치는 영향
-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입학유형별 대학적응, 전공 수업 가치부여, 사회경제적 상황 인식 및 자기효능감 연구
-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용서, 자아존중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상호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f Virtual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 수학 수업 관찰 도구 활용이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와 대처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 영유아교육분야에서 그릿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대학생활적응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초기 청소년들의 성지식과 성인지감수성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동향 분석
- 한국의 인성교육 정책 동향 탐색
- 전통음악 중심의 STEAM 교육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국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자유놀이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 귀주성 초등학생의 피아노 교습경험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제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교과서 추론 과제분석
-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및 문화성향 간의 관계
-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인성 변화 인식 연구
-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