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이용수 687
- 영문명
- A Need Analysis on Job Competency of high School Career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Administrators and Career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봉재(Lee, BongJae) 박수정(Park, Soo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187~2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역량별 중요도와 수행도 수준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두 집단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 근무하는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정책적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진로교육 현황조사(2019)’에서 고등학교의 관리자(교장, 교감) 360명, 진로전담교사 360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진로전담교사의 13개 직무역량에 대하여 중요도 수준과 수행도 수준,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은 학교현장에서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였고, 실제 수행도 수준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한 직무역량은 ‘학교 진로교육 기획 및 운영’, ‘진로⋅진학 관련 학생상담’, ‘진학정보 제공 및 활용’, ‘진로(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이며,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직무역량은 ‘취업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창업체험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수행도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가 상대적으로 수행도가 높다고 인식한 직무역량은 ‘진로⋅진학 관련 학생상담’, ‘진학정보 제공 및 활용’, ‘진로(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학생 진로심리검사 및 활용’이며, 상대적으로 수행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직무역량은 ‘취업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창업체험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운영’, ‘지역사회(유관기관⋅산업체) 네트워킹’ 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집단의 중요도와 수행도 수준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 모두가 공통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직무역량은 ‘취업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창업체험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운영’, ‘진로⋅진학 관련 학부모 교육⋅상담’, ‘지역사회(유관기관⋅산업체) 네트워킹’, ‘직업정보 제공 및 활용’ 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종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관리자들은 ‘직업정보 제공 및 활용’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직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제공, 차순위 직무역량의 합리적 선정작업 병행, 진로전담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법⋅제도적 정비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perception differences i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principles and vice-principles) and high school career teacher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asks of career teachers, and find out the support direction for career teachers to perform better their duties at the shchool.
Methods For this study, the data of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2019 responded by 360 high school career teachers and 360 school administrators. Based on career teacher’s 13 defined duties, research questions are use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orich needs analysis,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verall, both career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groups recognized that the job of career teachers were not only of high importance in the school field, but also positively recognized the actual level of performance. 2) Analyz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teachers duties, the tasks recognized as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the two groups were ‘school career educa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student counseling for career and academic transition’, ‘provid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operating career(education) activities’. The duties recognized as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were ‘operating and supporting employment programs’ and ‘planning and operating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3) Analyzing the level of performance awareness of career teachers duties, the tasks recognized as relatively high performance by managers and career teachers groups were ‘career-related student counseling’, ‘provid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n admission’, ‘operating career(education) activities programs’, and ‘student career psychology tests and utilization’. The duties recognized as relatively low were ‘operating and supporting employment programs’, ‘planning and operating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ommunity network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4) The common improvement competencies of the two groups based on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is ‘operating and supporting employment programs’, ‘planning and operating start-up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community network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and ‘provid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on admission’. 5) When Borich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mbined and compared, We found that the group of principle considered ‘providing and utilizing job information’ to be a top priority for career teache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hould consider provid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to give priority to high-demand duties. Also we must consider the parallel work of rational selection of secondary dutie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et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career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청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무용교육의 실태와 제언
- 중학생을 위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의 개발 및 내적 타당도 검증
- 중학생의 국어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활동, 서술형⋅논술형 평가, 토의⋅토론활동 요인 분석
- 여성 결혼이민자가 자각하는 한국어 학습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인재전환을 위한 역량모델링
- R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포스트 휴먼시대 학습자중심 다학문기반 인성교육모델개발
- A Case Study Expl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emote English Speaking Class
- 외국인 학습자들의 고전 교육을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의 의미
- 코로나 시대 대학생활 기대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서비스 요인 탐색
- 간호대학생의 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도상훈련을 통한 임상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초등학생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수학 예비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연구
-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단회 채팅상담 만족과 불만족 경험에 대한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입생 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물구나무서기 동작수행 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감탄사 뜻풀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은퇴한 댄스스포츠 여성 선수들의 직업전환 과정 탐색
- J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추측 양태부사 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과 감사성향이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자기개발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독서 활동과 미디어 문식활동 참여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의미
-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 미치는 영향
-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입학유형별 대학적응, 전공 수업 가치부여, 사회경제적 상황 인식 및 자기효능감 연구
-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용서, 자아존중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상호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f Virtual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 수학 수업 관찰 도구 활용이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와 대처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 영유아교육분야에서 그릿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대학생활적응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초기 청소년들의 성지식과 성인지감수성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동향 분석
- 한국의 인성교육 정책 동향 탐색
- 전통음악 중심의 STEAM 교육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국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자유놀이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 귀주성 초등학생의 피아노 교습경험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제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교과서 추론 과제분석
-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및 문화성향 간의 관계
-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인성 변화 인식 연구
-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