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88
- 영문명
- The Effect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Major Classes on Cognitive Learning Performance: Focusing o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변상민(Sangmin Byeon) 박소현(Sohyeon, Park) 이희원(Heewo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6호, 863~8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NASEL)’에 참여한 S대학 796명의 사례를 활용하였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전공지식, 비판적사고력, 문제해결력 등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적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공수업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간접효과, 직접효과, 총효과를 탐색하였다. 구조방정식에서 통제변수가 충분히 설정되지 않아 발생하는 편의를 줄이기 위하여 학생의 사전적 노력과 관련된 능동적 학습경험과 사고력 증진 활동을 공변인으로 투입하였다.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 수업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지식,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의 인지적 학습성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학생들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전공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학습성과의 향상은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도 모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pecifically analyze the impa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undergraduates cognitive learning and satisfaction levels with their chosen major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cases of 796 students at S University, which participated in the ‘College Student Teaching-Learning Process Survey (NASEL)’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18, were consider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cognitive learning outcomes such as knowledge regarding students major fiel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indirect effect,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explored by sett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classes as a parameter.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classes, the higher the cognitive learning performance becomes with regards to students knowledge regarding their field of stud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this mediat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classe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students cognitive learning performa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education, multi-faceted efforts are needed to induce activ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o increase the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classes. Since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stitutional support for this cause would be worth seek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선행연구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청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무용교육의 실태와 제언
- 중학생을 위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의 개발 및 내적 타당도 검증
- 중학생의 국어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서활동, 서술형⋅논술형 평가, 토의⋅토론활동 요인 분석
- 여성 결혼이민자가 자각하는 한국어 학습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인재전환을 위한 역량모델링
- R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국제 연구 동향 분석
- 포스트 휴먼시대 학습자중심 다학문기반 인성교육모델개발
- A Case Study Expl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Remote English Speaking Class
- 외국인 학습자들의 고전 교육을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어린이집 적응과정에서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가 경험한 어린이집 지원의 의미
- 코로나 시대 대학생활 기대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교육서비스 요인 탐색
- 간호대학생의 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도상훈련을 통한 임상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 초등학생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수학 예비교사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 개발 연구
- 역량기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안 탐색
- 청소년의 단회 채팅상담 만족과 불만족 경험에 대한 연구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부모상실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입생 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물구나무서기 동작수행 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감탄사 뜻풀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은퇴한 댄스스포츠 여성 선수들의 직업전환 과정 탐색
- J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분석을 통한 추측 양태부사 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현장지도자의 돌봄과 감사성향이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자기개발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독서 활동과 미디어 문식활동 참여가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개정누리과정의 놀이에 대한 의미
-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 미치는 영향
- 점토를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입학유형별 대학적응, 전공 수업 가치부여, 사회경제적 상황 인식 및 자기효능감 연구
-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경험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용서, 자아존중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상호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도, 수행자신감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관리자와 진로전담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f Virtual PBL Applied Global Citizenship Course
- 수학 수업 관찰 도구 활용이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 코로나(COVID-19)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와 대처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 영유아교육분야에서 그릿의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대학생활적응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초기 청소년들의 성지식과 성인지감수성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동향 분석
- 한국의 인성교육 정책 동향 탐색
- 전통음악 중심의 STEAM 교육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국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자유놀이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탐구
- 중국 귀주성 초등학생의 피아노 교습경험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교과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인증제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교과서 추론 과제분석
- 중국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삶의 만족도 및 문화성향 간의 관계
- 디지털 큐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한 영상기반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창의⋅인성 변화 인식 연구
-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