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lighttenment across Time and Space : A Life of Introversion Transformation - Examining Wang Wei’s Mental Journey through His Poem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황월명(Huang, Yue-Ming)(黄 玥 明) 김창경(Kim, Chang-Kyong)(金昌庆 )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75輯, 415~4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作为意识形态的诗歌创作,毫无例外要受到所处社会的政治、思想、哲学,文化等方面的制约和影响。这些影响是复杂且多方面的,既涉及诗人的世界观和人生态度,也影响他的文化心理及情感旨趣。王维自幼接受正统的儒家教育,少年时期学佛礼佛,体味大半人生后诗歌又逐步体现出道家的思想内核。综观其诗作,从不同的题材与创作的时代加以分析解读,可以看到当他作为“社会人”所关注的理想与现实发生冲撞的时候,其是用佛教与道教的“自然”与“本心”来进行消解的。从某种角度上看,从王维的身上我们可以充分地理解中国主流的文化精神,其关注对象逐渐由外至内,次第完成其从“社会人”到“自然人”再到关注自我“本心”这样一种“内向超越”的过程,这个过程,也是儒释道三者融合,形成“内向超越”型文化的过程。
영문 초록
As a kind of ideology, poetry creation is restrained and influenced by the political thought, philosophy, philosophy, culture and other aspects of the society where the poet lived without exception. These influences are complex and involve multiple aspects. They not only affect the poet s world outlook and life attitude, but also affect his cultural psychology and emotional purport. More importantly, they affect the poet s creation, and the social mindset and aesthetic trend in a specific era. Wang Wei is a man with rich knowledge, twists and turns, and ups and downs in his life. He received orthodox Confucian culture and education since his childhood, and learned Buddhism and paid respect for Buddha when he was young, winning him the title of Poem Buddha. In the second half of his life, his poems gradually began to embody the ideological core of Taoism. Wang Wei was a Confucian, paid respect for Buddha but he was not a monk. He followed the Taoism but he was not a Taoist. By looking at his poems and analyzing them from different themes and creation times, it can be see that when the ideal that he focused on as a “social person” collided with the reality, he dispelled such collision with the “nature” and “original aspiration” of Buddhism and Taoism.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Wang Wei represented the mainstream cultural spirit of China. He focused on the objects gradually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n completes the process of “introversion transformation” from “social person” to “natural person” and then to self “original aspiration”. This process was also the process of the integr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formation of “introversion transformation” culture.
목차
1. 绪论
2. 《少年行》里的恣意人生
3. 边塞诗里的雄心壮志
4. 山水田园里的宁静致远
5. 花自开落的人生感悟
6. 结论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송 주필대의 기행문 연구
- 集體記憶・文化創傷
- 『금병매화집』의 인물 형상 표현 연구
- 루쉰과 취추바이의 공동 잡문에 대한 미학적 검토
- 跨越时空的启迪:“内向超越”的人生
- 중국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정책 분석
- 한국의 중국학 관련 박사학위논문 현황 분석
- 싱가포르의 다중언어사용과 유산어로서의 중국어
- 중국 표어를 통해 본 중국인의 수(数)와 양(量)의 활용 양상
- 화행분석을 통한 『支那语集成』의 인물 간 권력 차이 고찰
- 沈從文 소설의 여성형상과 아니마(anima)의 현현
- 한국어와 중국어의 존재문 고찰
- 『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對譯音 考察
- 中国消费者认知因素对女性广告效果的影响研究
- 韩方商务汉语信函的句类特征与交际功能
- 冷戰現代性:1960年代韓國華人華文小說硏究
- 전주(轉注)의 재고찰
- 汉韩“同形同义”成语比较研究
-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중국어 쓰기 교육방안 연구
- 도교 계율과 도교 규장제도의 상관관계 연구
- 浅析疫情后中国国际汉语网络教学的问题及对策
- 《文選》李善注引經研究
- 유형론에 기반한 한중 문법상(相)의 의미영역과 그 실현 양상
- 식탁 위 소박한 우아함
- 『三國志演義』와 關索故事의 영향 관계 고찰
- 도쿄 화교·화인의 현지 정착 실태에 관한 연구
- 探析商周奴隶关联古文字的造字理据与文化意蕴
- 중국어 연동문의 한국어 번역연구
- “把OV”的句法功能及语义指向考察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