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esthetic study of the Zawen collaborated by Luxun and Quqiubai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조현국(Jo, Hyun-Kuk)(趙顯國)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75輯, 473~4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930년대에 루쉰과 취추바이가 합작한 잡문의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루쉰과 취추바이의 공동 잡문 미학은 ‘집단주의’와 ‘예술의 정치화’로 요약할 수 있다. ‘집단주의’는 ‘지식인의 대중화’로 개괄할 수 있는데, 이는 대중을 계몽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는 지식인의 우월감을 버리고 거대한 군중의 세계에서 그들과 함께 문학과 혁명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 잡문의 ‘예술의 정치화’는 ‘예술성을 띤 논설(포이통)’이라는 대목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공동 잡문이 사회의 중대한 일상적 사건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기에 매우 적합한 문체로 개발된 것이며, 예술성에 기초한 무기로서의 글쓰기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meaning of Zawen that Luxun and Quqiubai collaborated in the 1930s. The aesthetics of Zawen collaborated by Luxun and Quqiubai can be abbreviated as ‘collectivism’ and ‘politicization of art’. ‘Collectivism’ can be summarized as ‘popularization of intellectuals’, which means that intellectuals should abandon their superiority that regards the public as the object to enlighten and pursue literature and revolution with them in a world of huge crowds. The ‘politicalization of art’ in the collarorated Zawen can be found in the passage ‘artistic discourse (Feuilleton)’. This means that the collaborated Zawen was developed in a style that was very suitable for influencing important everyday events in society, and it was writing as a weapon based on artistry. By means of such collectivism and the politicization of art, Zawen collaborated by Luxun and Quqiubai responded to the political aesthetics of fascism, while attemped to push the stagnant cultural movement of The Left Coalition of Writers to a new level.
목차
1. 서론
2. 공동 잡문의 배경
3. 공동 잡문의 미학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송 주필대의 기행문 연구
- 集體記憶・文化創傷
- 『금병매화집』의 인물 형상 표현 연구
- 루쉰과 취추바이의 공동 잡문에 대한 미학적 검토
- 跨越时空的启迪:“内向超越”的人生
- 중국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정책 분석
- 한국의 중국학 관련 박사학위논문 현황 분석
- 싱가포르의 다중언어사용과 유산어로서의 중국어
- 중국 표어를 통해 본 중국인의 수(数)와 양(量)의 활용 양상
- 화행분석을 통한 『支那语集成』의 인물 간 권력 차이 고찰
- 沈從文 소설의 여성형상과 아니마(anima)의 현현
- 한국어와 중국어의 존재문 고찰
- 『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對譯音 考察
- 中国消费者认知因素对女性广告效果的影响研究
- 韩方商务汉语信函的句类特征与交际功能
- 冷戰現代性:1960年代韓國華人華文小說硏究
- 전주(轉注)의 재고찰
- 汉韩“同形同义”成语比较研究
-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중국어 쓰기 교육방안 연구
- 도교 계율과 도교 규장제도의 상관관계 연구
- 浅析疫情后中国国际汉语网络教学的问题及对策
- 《文選》李善注引經研究
- 유형론에 기반한 한중 문법상(相)의 의미영역과 그 실현 양상
- 식탁 위 소박한 우아함
- 『三國志演義』와 關索故事의 영향 관계 고찰
- 도쿄 화교·화인의 현지 정착 실태에 관한 연구
- 探析商周奴隶关联古文字的造字理据与文化意蕴
- 중국어 연동문의 한국어 번역연구
- “把OV”的句法功能及语义指向考察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