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ead Pose and Facial Expression-Based Alternative Input Method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이용수 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가현욱(Ka, Hyun Woo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9권 제1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지 마비와 같은 중증 지체장애인의 컴퓨터와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 기반 재활보조공학기기의 접근성 및 사용성 향상을 위해 ‘HF(Head pose & Facial expression) 인터페이스’라 명명한 새로운 대체입력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HF인터페이스는 저가의 3차원 카메라를 활용하여, 기존 헤드마우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적외선 난반사 마커 없이도,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과 얼굴 표정 등을 인식하고, 이 인식 정보를 시스템 내부 운영체제의 포인팅 커서 작동기제와 직접 연결함으로써 그레픽유저인터페이스 상의 각종 화면객체들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선택·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머리 움직임을 통해 포인팅 커서를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의도적 눈 깜빡임 또는 입술의 움직임을 통해 원하는 화면객체를 선택·조작할 수 있다 (e.g., 왼족클릭: 왼쪽 눈깜빡임; 오른쪽클릭: 오른쪽 눈깜빡임; 더블클릭: 두번 깜빡임; 끌어당기기: 입벌림 등). 실제 헤드마우스 사용자가 참여한 파일럿 연구를 통해 HF인터페이스는 화면객체 조작에 있어 기존의 dwell-clicking 인터페이스에 비해 보다 빠른 수행 속도 및 정확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중증 지체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대체입력 방법으로서의 기술적 타당성 및 활용 기능성을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d develop a new alternative input method, called HF Interface, for selecting and manipulating on-screen objects based on tracking the user’s head pose and recognizing his/her facial expressions, using a 3D depth sensing camera. To specify a target of interest, the HF interface detects changes in the user s head position and orientation and the detected angular deflection and velocity determine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e mouse cursor’s position on the screen. To specify a desired pointing command with the HF interface, eye-blinks or lip movements are used (e.g., blinking left eye for left click; blinking right eye for right click; double blinking for double click; opening mouse for drag). In the pilot experimental tests conducted with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the HF interface demonstrated that it holds good potential as another viable pointing method by consistently showing faster and more accurate performance than the dwell clicking interface across all pointing operations. As a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 HF interfac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both computer access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softwar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성인 학습자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야학교사들의 인식
-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ICF 개념틀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의 분석
-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뇌병변장애인의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
-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또래활용 중재 특성 및 효과 분석
- Head Pose and Facial Expression-Based Alternative Input Method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사회적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적 표현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사회학적 담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