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또래활용 중재 특성 및 효과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Peer-Mediated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ho Have or are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경(Kim, Min-Kyung) 박유정(Park, Yu-Jeoung) 김병건(Kim, Byung-Keo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9권 제1호, 131~1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발달지체유아 및 장애위험유아를 대상으로 한 또래활용 중재 연구를 분석하여 국내 연구 동향 및 각 연구에 적용된 중재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또래활용 중재의 향후 연구과제 및 통합교육 현장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포함/배제 조건에 근거하여 선정된 21편의 연구들을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소요 시간, 중재 회기, 연구 설계 및 실행의 질적 수준, 또래활용 중재의 유형, 발달영역별 중재 유형, 중재에 활용된 교수·학습요소의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유아의 연령은 만5세(78%)가 가장 많았고 72%에 해당하는 연구가 유치원(38%)과 어린이집(38%)에서 이루어졌으며, 약 20분간 20-24회에 걸쳐 중재를 실시한 연구가 38%로 가장 많았다. 둘째, 단일대상연구가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60%이상의 연구에서 유지 및 관찰자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57%의 중재가 극놀이(역할놀이)에 해당하였으며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참여행동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수·학습요소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90%)에서 언어·신체적 촉진을 사용하였다. 끝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또래활용 중재의 향후 연구 과제 및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 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on peer-mediate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ose at risk for disabilities. A total of 21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ipants, settings, session duration, number of sessions, quality of research, types of peer-mediated interventions, dependent variables, and instructional componen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were implemented with 5-year-old children(78%) for 20-24 sessions(each session for 20 minutes, 38%) mostly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Second, more than 90% of studies used single-case designs, and over 60% of studies reported maintenance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ird, 57% of studies applied role-play; dependent variables varied (e.g., social interaction, engagement). Finally, verbal/physical prompts were included in 90% of the studies reviewed.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성인 학습자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야학교사들의 인식
-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ICF 개념틀을 적용한 지역사회중심재활교육의 분석
-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뇌병변장애인의 심리사회적 특성 연구
-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또래활용 중재 특성 및 효과 분석
- Head Pose and Facial Expression-Based Alternative Input Method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사회적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적 표현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사회학적 담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