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질성 발작 뇌성마비아의 자아 동일성, 자아 수용, 자아 행동 비교 분석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lf-Ideal, Self-Acceptance, and Ego-Centrism of the Seizures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전헌선(Jun, Hun-Su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8권, 31~4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질성 발작 증후를 수반한 뇌성마비아의 자아 동일성, 자아 수용, 그리고 자아 행동 특성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간질성 발작 증후를 나타내는 뇌성마비 중고등부 학생들의 자아 동일성은 일반 중고등학생 보다 낮아, 자신을 저평가하거나 부정적인 경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둘째, 간질성 발작 증후를 수반한 뇌성마비 중고등부 학생들의 자아 수용성은 일반 학생들의 특성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뇌성마비 남학생들은 자아 수용에 어려움이 높게 나타난다. 셋째, 간질성 발작 증후를 나타내는 뇌성마비 중고등부 학생들의 자아 행동 경향성은 일반 중고등학생 보다 소극적이고 부정적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concept of the seizures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ideal tendency of the seizu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as lower than the one of general schools in the middle-high schools. it found out that was low in the comparison by the sex and school grad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as a whole factor in the self-acceptance tendency of the seizu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However, the boy students were low compared with the girl students. Finally, the ego-centrism tendency of the seizu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as low compared with the general students in the middle-high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concept of the seizures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ideal tendency of the seizu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as lower than the one of general schools in the middle-high schools. it found out that was low in the comparison by the sex and school grad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as a whole factor in the self-acceptance tendency of the seizu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However, the boy students were low compared with the girl students. Finally, the ego-centrism tendency of the seizur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as low compared with the general students in the middle-high schoo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복장애 학생의 학습과제 분석에 대한 목적과 절차 탐색
- 뇌성마비아 간질성 발작의 촉발 요인·전조·회복기 행동의 특성 연구
-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연구
-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에 관한 특수아동 학부모와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인식 차이 연구
- 행동형성법이 뇌성마비유아의 착·탈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증 신체장애인의 개별배치 지원고용에 관한 고찰
- 지체부자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연구
- 간질성 발작 뇌성마비아의 자아 동일성, 자아 수용, 자아 행동 비교 분석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학술지 게재 논문 특성 분석
- 조기중재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현실적 기대와 잠정적 기대에 대한 상관성 연구
- 고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
- 창작무용 활동이 발달장애아의 리듬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령 전기 경직형 뇌성마비아의 자음 산출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