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기중재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현실적 기대와 잠정적 기대에 대한 상관성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Expectation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on their Children and Their Potential Expectations of Early Interven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황순희(Hwang, Sun-Hee) 최성규(Choi, Sung-Kyu)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8권, 163~1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유아의 조기진단평가가 수행되면 다음 단계는 조기중재이다. 장애유아의 부모는 조기중재를 통하여 자신의 자녀가 보다 자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부모가 조기중재를 통하여 가지는 자녀에 대한 현실적 기대와 미래지향적인 잠정적 기대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장애전담어린이집, 특수학교 유치원, 그리고 언어치료실에서 조기중재를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부모에게 배포하여 283매를 회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조기중재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장애유아 부모의 현재적 기대감과 미래의 잠정적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조기중재 프로그램의 질적 운영과 지원이 장애유아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의 수월성이 보장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AThe early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y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improving their disability and preventing them from having the second and third disability, but also in getting rid of potential symptoms. However, such an intervention has been too much depending on its organizations and expert groups and it has been very limited to considering the demands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the end users of early interven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early intervention models and let relevant people use them by figuring out the current and potential expectation on their disabled children and the early interv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83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who have been receiving the early intervention in children s preschool for disabled children, special kindergarten and linguistic therapy and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ategories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for each variable,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HSD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urrent expectation and potential expectation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field.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parents satisfaction on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could become a positive influence over their expectation on their disabled childr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복장애 학생의 학습과제 분석에 대한 목적과 절차 탐색
- 뇌성마비아 간질성 발작의 촉발 요인·전조·회복기 행동의 특성 연구
- 장애아동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관련 변인 분석 연구
-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에 관한 특수아동 학부모와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인식 차이 연구
- 행동형성법이 뇌성마비유아의 착·탈의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증 신체장애인의 개별배치 지원고용에 관한 고찰
- 지체부자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연구
- 간질성 발작 뇌성마비아의 자아 동일성, 자아 수용, 자아 행동 비교 분석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학술지 게재 논문 특성 분석
- 조기중재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현실적 기대와 잠정적 기대에 대한 상관성 연구
- 고등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인식태도
- 창작무용 활동이 발달장애아의 리듬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령 전기 경직형 뇌성마비아의 자음 산출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