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개발에서의 새마을운동 경험공유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Participation Factors and Expansion Plans for Sharing the Saemaul Undong Experienc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Baby Boomers Employed by Public Organizations and Agencie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황승일(Seung-Il Hwang) 최외출(Oe-Chool Choi) 이희욱(Huiuk Yi)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0권 제2호, 101~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encourage civic servants born in the post-WWII era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the Saemaul Undong. Establishing a new school of thought based on the Saemaul model has potential applications beyond basic development projects and thus calls for further study of the impact that baby boomers played in the Saemaul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the 7.12 million Korean baby boomers, this study focused on civic servants working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the birthplace of Saemaul Undong. Binomial logistical analysis suggests that the following, in order of important, are the primary factors that affect one’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aemaul ODA project: motivation towards societal contribution, personal limitations, income level, attitude towards Saemaul Undong, challenges involved in adjusting to a new environment, and financial liberty. In particular, one’s personal desire for social change i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This includes the satisfaction attained from cooperating with others, the work in and of itself,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one’s knowledge, experiences, and skills.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coefficient of motivation towards societal contribution and his or her desire to reach prosperity for all humankind as opposed to purely financial mo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수준과 원자력 갈등관리 효력에 관한 분석
- The Impact of Local Universities Students’ Youth Entrepreneurship on Intention of Start-Up and Its Revitalization Strategies
- 규제정책 비교를 통한 사행산업 영업장 설치 개선 논의
- 新村运动的发展过程及评价
- 거버넌스로서 정부위원회 위원 간 네트워크 구조 및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독립자문기구형태의 정부회계기준 설정주체에 관한 연구
- 갈등내재화 위한 포용적 행정제도 구축전략
- 한국 여성공무원의 성차별에 관한 실증분석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체계 분석
- 국제개발에서의 새마을운동 경험공유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 시도교육감 선출제도 대안유형과 판단기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