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新村运动的发展过程及评价
이용수 5
- 영문명
- Analysis of Achievements of Saemaul Undong Policy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崔外出(Oe-Chool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0권 제2호, 227~2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describe processes and principles relating to Saemaul(New Community) Movement policy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olicies in Korean history,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which the policy has made up until now, to analyze the successful factors behind the policy, and to suggest how the Saemaul Movement policy can be transplanted in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suffering from poverty. disease, famine, and other problems. In doing so, it employs documentary study and comparative method. It is found tha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Saemaul Movement policy are strong leadership on the part of president and government officials, effective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etitiveness-led motivation, ordinary people’s strong willingness to live better, village leader’s role, good governance in which ordinary people could effectively participate.
목차
I. 绪论
II. 新村运动的议论与评价框架
III. 新村运动的发展过程
IV. 评价
V. 结论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수준과 원자력 갈등관리 효력에 관한 분석
- The Impact of Local Universities Students’ Youth Entrepreneurship on Intention of Start-Up and Its Revitalization Strategies
- 규제정책 비교를 통한 사행산업 영업장 설치 개선 논의
- 新村运动的发展过程及评价
- 거버넌스로서 정부위원회 위원 간 네트워크 구조 및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독립자문기구형태의 정부회계기준 설정주체에 관한 연구
- 갈등내재화 위한 포용적 행정제도 구축전략
- 한국 여성공무원의 성차별에 관한 실증분석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체계 분석
- 국제개발에서의 새마을운동 경험공유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 시도교육감 선출제도 대안유형과 판단기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