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갈등내재화 위한 포용적 행정제도 구축전략
이용수 15
- 영문명
- Toward Building Inclusiv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for Internalizing Conflicts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김광구(Kwang-Koo Kim) 심준섭(Jun-Seop Shim) 이선우(Sun-W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0권 제2호, 157~1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of Korean government do not have a capacity to resolve the variety of public conflicts so that they tend to make easily worsening and take long period of time to the end. This paper finds the reasons of the lack of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o deal with public disputes of the rigidity or closeness of them. Acemoglu and Robinson (2012) suggest that the prosperity or poverty of a nations depends on the inclusiveness of political institution and economic institutions. This paper would like to take their perspective of the inclusiveness of institutions that allows and motivate people to reveal their desires or voices. Many nations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have faced serious social problems of income inequality, unemployment, poverty, lacks of water and energy, financial instability, and restructuring that may put their people and society into conflicts. However, the governments have not played their expected roles to solve them so they have ever faced deep distrust from people. The government of Korean is no exception. The rigidity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have not allowed the desires of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policy decision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conditions or factors to develop or design inclusiv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at may able to internalize public conflicts. Inclusiv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ma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heir processes of citizens as partners, consensus building efforts, conceptual planning phases, deliberations and argumentation, joint-fact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bureaucrats as process designer and managers, and trust building efforts.
목차
I. 들어가며
II. 인식의 틀
III. 행정체제의 포용성 하락
IV. 21세기 대한민국의 현실
V. 포용적 행정체제 설계의 방향과 조건
VI. 맺으며 : 참여중심의 행정절차 제도화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수준과 원자력 갈등관리 효력에 관한 분석
- The Impact of Local Universities Students’ Youth Entrepreneurship on Intention of Start-Up and Its Revitalization Strategies
- 규제정책 비교를 통한 사행산업 영업장 설치 개선 논의
- 新村运动的发展过程及评价
- 거버넌스로서 정부위원회 위원 간 네트워크 구조 및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독립자문기구형태의 정부회계기준 설정주체에 관한 연구
- 갈등내재화 위한 포용적 행정제도 구축전략
- 한국 여성공무원의 성차별에 관한 실증분석
-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체계 분석
- 국제개발에서의 새마을운동 경험공유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 시도교육감 선출제도 대안유형과 판단기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