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인 귀환자 단체 同和協會, 中央日韓協會의 한반도 인식
이용수 30
- 영문명
- Study of Perce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of Dōwa Association and Central Japan-Korea Association: Focusing on the Bulletin “Dōwa”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경민(Park Kyungmi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29~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패전 이후 일본 사회에서 누구보다, 그리고 거의 유일하게 식민지 조선의 해방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지녔던 일본인 귀환자의 한반도 인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일본인 귀환자들 중에서도 현안 해결과 관련 단체들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동화협회(同和協會), 중앙일한협회(中央日韓協會)의 기관지 『同和』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그들의 한반도 인식이 미군정청에 의한 일본으로의 강제송환, 이른바 귀환 과정과 함께 해방 이후 한반도에 수립된 두 개의 정부,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과 대일강화조약, 나아가 한일회담을 거쳐 교섭 결렬 이후 북일의 미귀환자 문제 교섭에 이르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양상을 드러낸다. 또한 본 논문은 기존에 식민지 조선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서 보는 경향에서 벗어나 재조일본인들이 패전 후 귀환자가 되어 한반도를 국제 정세에 맞춰 한국과 북한 사이를 오가며 자의적이고 편의적으로 인식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일본인 귀환자들이 모여 결성한 핵심 단체인 동화협회, 중앙일한협회의 행적에 주목하고, 그중에서도 단체 회보에 드러난 한반도 인식이 시기별 변곡점에 따라 굴절되어 남과 북을 오가는 측면을 밝혀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o pay attention to the perce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of Japanese repatriate, who had a lasting interest in the liberation space of colonial Joseon and more than anyone else in Japanese society after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It also analyzes the bulletin of the Dōwa Association,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solving pending issues and related organizations among Japanese repatriate. Through this, their perce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forced repa triation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 Japan, two governments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liberation, the Korean War,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negotiations and the North Korea-Japan negotiati ons regarding the issue of detainee. In addition,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view that the Japanese, who returned after the defeat, mov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recognized the Korean Peninsula arbitrarily and conveniently. From this perspective, the paper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the Dōwa Association and the Centra l Japan-Korea Association, which are key organizations formed by Japanese repatriate, and among them, the perce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refracted according to the inflection point by time. Accordingly, this paper have two significance. First, Japanese repatriates recognized South Korea as a space to recreate it as a postwar edition of the Japanese colonialism that the two countries should accept and cooperate with geogr 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ficities. Second, the repatriates have identified aspe cts of North Korea that Japan s human rights were infringed.
목차
Ⅰ. 서론
Ⅱ. 동화협회, 중앙일한협회와 『同和』
Ⅲ.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을 전후로: 한국과 북한 사이에서
Ⅳ. 한국전쟁 발발을 기점으로: 한국 편중
Ⅴ. 대일강화조약 체결과 제1차 한일회담 개시: 한일관계의 한계 인지
Ⅵ.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과 제3차 한일회담 결렬 이후: 북한 편중에서 다시 한국으로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 참여 대학생들의 협력학습 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근1)
- 재일동포 모국귀환 고찰
-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심리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전시기 일본의 종교단체법과 일본기독교단 교칙 ‘생활강령’ 조항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귀환자 단체 同和協會, 中央日韓協會의 한반도 인식
-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일만선차연락(日滿船車連絡)의 형성과 전개, 1905~1917
-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엔리케 두셀의 철학적 여정과 레비나스
- 일제강점기부터 사용해온 공무원의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 『三字经』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치 고찰
-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文化視角下的漢語成語 「牛」 之槪念隱喩探析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척도의 타당화
- 구술자료로 보는 피란민과 부산 정주민의 문화접변 양상
-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자기조절력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대적 영향력
-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루쉰(魯迅)의 『古小說鉤沉』 輯佚과 六朝小說 硏究
-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 해방직후 남한 거주 일본인의 귀환양상과 재산처리 과정 고찰
-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피란수도 부산의 일제강점기 유산 활용에 관한 일고찰
- 부산지역 대졸 니트(NEET)의 특성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