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엔리케 두셀의 철학적 여정과 레비나스
이용수 106
- 영문명
- Enrique Dussel’s the Philosophical Career and Levina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도형(Kim Dohyu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347~37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은 우리의 삶에 어떤 변화와 울림을 제공할 수 있을까? 그가 강조하는 타자와 윤리가 우리의 구체적 현실과 대면하기 위해선, 어떤 번역과 변형이, 보충과 발전이 이뤄져야 할까? 알다시피 레비나스는 타자에 대한 무한한 책임을, 대체 불가능하고 통약 불가능한 나의 책임을 주장했다. 더군다나 그의 논의의 핵심에는 나와 타자의 대면적 관계가, 보편화 불가능한 독특한 관계가, 그러면서도 나에 대한 타자의 우위를 인정하는 비대칭적 관계가 놓여 있다. 그런 탓에 레비나스의 철학은 민주주의라는 우리의 정치 현실에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고 심지어 반(反)정치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레비나스는 결코 우리의 현실을, 또 우리의 현실 속에서 정치가 갖는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그가 비판하는 것은 “그 자신에 내맡겨진 정치”, 이 정치가 “보편적인 것의, 그리고 비인격적인 것의 전제정치”로 귀결될 가능성이다. 본 논문은 레비나스와, 그를 통해 ‘독단론의 잠’에서 깨어났다고 술회한 해방철학자 엔리케 두셀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려는 최초의 시도 중 예비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두셀의 철학적 여정 및 거기서 레비나스가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셀의 철학적 여정은 지적인 것인 동시에 자신의 시대를 변화 개혁하려는 실천적인 것 이었다. 20세기 라틴아메리카라는 특수한 현실 속에서 한 명의 실천가로서 또 사상가로서 살았던 두셀은 민중해방운동이나 사회운동, 탈식민운동에 깊숙이 개입하면서 그 운동을 철학적으로 이론화하려 했다. 우리는 두셀의 철학적 여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또 거기서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두셀이 하이데거나 리쾨르에서 무엇을 받아들였는지, 또 어떤 점에서 그들과 결별하고 레비나스를 참조했는지를 밝히는 일은 해방철학의 목표나 방향성을 검토하는 일일 뿐 아니라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이 어떻게 현실 속에서 수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일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What changes and echoes can the philosophy of other on Emmanuel Levinas provide in our lives? In order to meet our concrete reality to the other and ethics he emphasizes, what translation and transformation should be done? As you know, Levinas insisted on my infinite, irreplaceable and unassailabl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Because of this, Levinas’s philosophy was considered never to fit into our political reality of democracy and was even judged anti-political. But Levinas never overlooked our reality and the importance of politics in our reality. This paper corresponds to the preliminary stage in the first attempt to comprehensively examine Levinas and Enrique Dussel who said he had awakened from the “sleep of dogmatism” by Levinas. It aims to identify the philosophical career of Dussel and the position of Levinas in it. As we will look forward, Dussel’s philosophical career was both intelligent and practical to change and reform his time. Dussel, who lived as a single practitioner and thinker in the special reality of 20th-century Latin America, deeply intervened in the popular liberation movement, social movement, and decolonization movement and tried to philosophically theorize their movement. We will examine how Dussel’s philosophical career progressed, and how Levinas’s ethics affected there. It is important to confirm what Dussel studied through Martin Heidegger and Paul Ricoeur, and at what point he broke up with them and referred to Levinas. This work is not only to confirm the goals and ideologies of the philosophy of liberation, but also to see how Levinas’s philosophy can be accepted in reality, and how and why it has to change there.
목차
Ⅰ. 서론
Ⅱ. 엔리케 두셀의 철학적 여정
Ⅲ.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Ⅳ. 엔리케 두셀의 초변증법과 타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 참여 대학생들의 협력학습 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근1)
- 재일동포 모국귀환 고찰
-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심리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전시기 일본의 종교단체법과 일본기독교단 교칙 ‘생활강령’ 조항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귀환자 단체 同和協會, 中央日韓協會의 한반도 인식
-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일만선차연락(日滿船車連絡)의 형성과 전개, 1905~1917
-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엔리케 두셀의 철학적 여정과 레비나스
- 일제강점기부터 사용해온 공무원의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 『三字经』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치 고찰
-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文化視角下的漢語成語 「牛」 之槪念隱喩探析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척도의 타당화
- 구술자료로 보는 피란민과 부산 정주민의 문화접변 양상
-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자기조절력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대적 영향력
-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루쉰(魯迅)의 『古小說鉤沉』 輯佚과 六朝小說 硏究
-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 해방직후 남한 거주 일본인의 귀환양상과 재산처리 과정 고찰
-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피란수도 부산의 일제강점기 유산 활용에 관한 일고찰
- 부산지역 대졸 니트(NEET)의 특성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