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文化視角下的漢語成語 「牛」 之槪念隱喩探析
이용수 2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onceptual Metaphor of the Chinese Idiom Niu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崔仲植(Choi Jungsik)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267~2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은유는 우리들의 일반 언어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언어요소이며 이것은 언어생활 뿐 만 아니라 우리들의 사유와 행위 중에서도 응용된다. 은유는 표면의 문자의미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와 상호 결합하여 상징이라는 의미로 인식되며 활용되어진다. 또한 중국어에서 성어는 일상대화에서 사용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선인들의 인생의 역사적 형식을 반영하며 우리들에게 전해져 왔다. 따라서 성어에는 선인들의 지혜와 교훈이 담겨져 있고 또한 그들의 살았던 시대의 정신이 담겨있다. 특히 선인들은 이러한 시대를 대표하는 사고들은 외부사물을 통해 나타내었다. 특히 이런 사고의탁 외부 사물에는 동물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이는 그림, 서적, 건축물 등 역사적 유물을 통해 선인의 생활상과 사고관을 알 수 있다. 이는 각 동물이 나타내는 개별적 싱징성과 암시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대에서 현재까지도 인간의 생활, 즉 의식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동물 중 소(牛)에 대해 이를 사용한 성어의 음유의 유형을 분석하고 분류해 보고자 한다. 소(牛)는 중국전통 농업사회에서 중요한 생산도구이자, 부의 상징이고, 제사의 제물이자 식재료가 되는 등 인간생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동물이다. 따라서 소(牛)가 상징하는 심층적 의미는 그 종류가 각기 다른데 즉 소(牛) 와 결합된 성어가 원래 소 (牛)가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를 그대로 나타내는지 아니면 파생되어 나타내는 지를 분석해 보았다. 소(牛)가 포함된 성어의 나타내는 의미를 대분류하면 능력과 세력이 크다는 것과 사람이 우매하고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 고집이 세다는 것, 빈천한 것과 사회생활과 관련된 도구와 생활상태, 사물의 진리와 도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념은유의 이론을 통해 소(牛)성어의 은유의 의미와 은유의 시각으로 소(牛)성어들에서 서로 다른 파생된 의미와 그 배후의 사회문화를 연구하고 한어 소(牛)단어 자체의 의미에서 추상적 심층의미가 포함하는 의미의 특성을 살펴보고 문화적 관점에서 소(牛)가 역사 발전과정에서의 단면적 상징의미와 나아가 소(牛) 성어 의미가 언어, 문화 , 사회등과의 상호의존관계와 각자의 역할을 분석하여 중국어 성어와 중국문화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Metaphor is not merely the rhetorical device, used to decorate literature and writing but is also a tool used in everyday life, subconsciously and automatically. It reflects human cognition, and how people can understand new concepts and determine how to see the world. Through cultural exchange, people can discove that different languag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customs, social patterns and histories, affecting why people have different insight, and perception, and, therefore, cognition regarding the same concepts. In Chinese culture, “Niu” are considered the most crucial labor source in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and as the working partners. “Niu” has a rich cultural connotation and are related to the language. This research uses Conceptual Metaphor theory developed by Lakoff and Johnson as the foundation for deter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idioms, and metaphor involving “Niu” as well as the surface and underlying meanings of these idioms. In the present chapter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dioms and metaphor involving “Niu”, analyze the history of “Niu” and explores the evolution of symbolism of “Niu”. Metaphor, culture and language, influence each other. The relationship among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are explored on the basis of semantic moleclues. This essay mainly focuses on the research on the metaphors of idioms related to Niu , except for the related idioms of Niu . In addition to the research, the author also briefly talks about the tracing of the culture of cattle and what the cattle in the society are bestowed by people.
목차
Ⅰ. 引言
Ⅱ. 成語中的隱喩
Ⅲ. 中國文化中的 「牛」象征意义
Ⅳ. 「牛」成语的隱喩分類
Ⅴ. 結語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 참여 대학생들의 협력학습 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근1)
- 재일동포 모국귀환 고찰
-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심리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전시기 일본의 종교단체법과 일본기독교단 교칙 ‘생활강령’ 조항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귀환자 단체 同和協會, 中央日韓協會의 한반도 인식
-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일만선차연락(日滿船車連絡)의 형성과 전개, 1905~1917
-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엔리케 두셀의 철학적 여정과 레비나스
- 일제강점기부터 사용해온 공무원의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 『三字经』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치 고찰
-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文化視角下的漢語成語 「牛」 之槪念隱喩探析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척도의 타당화
- 구술자료로 보는 피란민과 부산 정주민의 문화접변 양상
-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자기조절력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대적 영향력
-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루쉰(魯迅)의 『古小說鉤沉』 輯佚과 六朝小說 硏究
-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 해방직후 남한 거주 일본인의 귀환양상과 재산처리 과정 고찰
-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피란수도 부산의 일제강점기 유산 활용에 관한 일고찰
- 부산지역 대졸 니트(NEET)의 특성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