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이용수 78
- 영문명
- Trends Analysis of Regional Studies in Changwon City: Focusing on the Recent Ten Year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성호(Lee Sungho)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439~46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 창원시 출범 이후 최근 10년간 ‘창원’이라는 지역이 연구대상으로서 어떠한 관점과 주제로 다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연구’를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특정 활동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한 학술연구 전체로 정의하고, 창원이라고 하는 지역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 현황과 변화의 동향 전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행정구역 통합 이후의 창원시를 내·외부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통합 창원시의 지역성이 어떠한 방향으로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에 활용된 지역연구 성과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록된 정규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 10년간 창원 지역연구는 지역개발 관련 분야와 행정학을 중심으로 한 사회과학과 역사학 중심의 인문학 등을 기반으로 연간 30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마산, 내용적으로는 행정구역 통합과 마산만, 항만 등의 연안해양도시의 특성이 연구 동향에서 두드러지며, 특히 지역 내 주요 대학의 연구비 지원을 받은 지역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관심과 이슈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창원 지역연구는 양적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정체 내지는 침체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인문학 분야의 감소와 행정구역 통합 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특정한 주제나 지역특성이 부각되지 않아 시기별로 연구 성과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즉 아직까지 창원시는 행정구역에 따른 지역성의 새로운 변화양상이나 이에 따른 지역연구의 새로운 흐름이 전개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연구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향후 창원 지역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합 이후 유기적으로 결합된 새로운 지역성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100만 대도시로서의 현재의 다양한 삶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을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외부 연구자와 신규 연구자들을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지원사업의 모색과 지역자료 구득을 위한 연구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새로운 연구자들이 창원이라는 지역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regional studies for the recent ten years in Changwon after launching a consolidated administrative district. This study defined regional research as entire academic research targeting specific activities or groups within a particular region and identified the trend of recent research papers in Changwon.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examined how Changwon is recognized internally/externally after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and which direction Changwon’s regionality forms. Regular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n academic journal citation index(KCI) from 2010 to 2019 were reviewed for the analysis. In the past ten years, more than 30 research papers about Changwon’s regional studies have been successfully conducted per year based on Social Sciences centering around regional planning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Humanities centering around history. Masan region was investigated remarkably on a local ba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and maritime cities were examined prominently on a content basis. In particula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nd funded by local universities have made successful results.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regional research in Changwon has been stalled or declined, although increased attention and issues in the region. Significantly, the number of successful research results largely fluctuated due to reduced studies in the humanities field and lack of attention to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n other words, Changwon has not yet discovered new flows of regional studies and new localities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It entails a difficulty of vitalizing Changwon’s regional studies. Henceforth, an establishment of a systemically combined new locality emerging after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should be preceded. Particularly, contemplating regionality reflecting the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esent living space as a metropolis of a million population is needed. In addition, vigorous support, such as diverse support projects and construction of research databases, should be employed in order to bring external and new researchers consistently and engage researchers’ interest in Changwon.
목차
Ⅰ. 서론
Ⅱ. 지역연구의 개념과 동향
Ⅲ.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 2010~2019년
Ⅳ. 창원 지역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 참여 대학생들의 협력학습 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근1)
- 재일동포 모국귀환 고찰
-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심리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전시기 일본의 종교단체법과 일본기독교단 교칙 ‘생활강령’ 조항에 관한 연구
- 일본인 귀환자 단체 同和協會, 中央日韓協會의 한반도 인식
-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일만선차연락(日滿船車連絡)의 형성과 전개, 1905~1917
- 정서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민단체 활동가의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엔리케 두셀의 철학적 여정과 레비나스
- 일제강점기부터 사용해온 공무원의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 『三字经』의 중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치 고찰
-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文化視角下的漢語成語 「牛」 之槪念隱喩探析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판 구성주의 학습환경운영기술척도의 타당화
- 구술자료로 보는 피란민과 부산 정주민의 문화접변 양상
-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유아 자기조절력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대적 영향력
-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루쉰(魯迅)의 『古小說鉤沉』 輯佚과 六朝小說 硏究
-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 해방직후 남한 거주 일본인의 귀환양상과 재산처리 과정 고찰
- 창원 지역연구의 동향 분석
- 피란수도 부산의 일제강점기 유산 활용에 관한 일고찰
- 부산지역 대졸 니트(NEET)의 특성 및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