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관생도의 투지(Grit)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이용수 114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ROK AFA Cadet’s Grit and Mental health: the mediating effect of Living a Calling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함성수(Seong-Soo HA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67~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사관생도의 투지, 소명수행, 그리고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투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공군사관생도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투지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지는 정신건강, 소명수행과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지는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들 모두와도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소명수행은 정신건강과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수행이 투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Grit, Living a Calling, and Mental health of ROK Air force Academy(KAFA) cadet.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Living a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health was examined. Survey data from 227 cadets in KAF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PSS PROCESS Macro for bootstrapp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it correlated positively with Mental health and Living a Calling. Second, Living a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Mental health. Third, Living a Calling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healt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 탈북 여성의 생애사 연구
- 유아교육역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활동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 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이 경험한 가족갈등이 정서불안을 매개로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 사관생도의 투지(Grit)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 기질의 매개효과
-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정서지능, 사회기술, 적응유연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드라이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누리과정에 근거한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 및 정서조절양식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
- 청소년의 가정위험요인과 자기 효능감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성 연구
- 중국 AI교육의 도입과 시사점
-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노인의 신체기능 상태에 따른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
- 상담전공 대학생의 조절초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뇌기능과 음악에 관한 국내 문헌고찰
-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예비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