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성 연구
이용수 5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of Old-age Couple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영희(Yo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81~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관계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부 상호작용, 부부간 의사소통, 부부친밀감, 결혼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에 등록되어있는 65세 이상 노년기 부부 실험군 10쌍, 대조군 10쌍으로, 5주 동안 주 1회 120분씩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동질성과 모든 연구 변인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점수가 동질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검증 결과 부부 상호작용(F=45.20, p<.001), 부부간 의사소통(F=34.49, p<.001), 부부친밀감(z=-4.41 p<.001), 결혼만족도(z=-4.69, p<.001), 삶의 질(F=25.33, p<.001)은 실험군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노년기 부부들에게 있어 관계강화 프로그램은 관계를 향상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년기 부부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non-equivalent control post-parameter design to identify the effects on marital interaction, couple communication, couple intimacy, marriag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by applying the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to elderly coupl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experimental pairs of couples aged 65 or older and 10 control pairs registered at the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 located in S city, and 120 minutes per week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8.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mographic homogeneity of the subject and all the study variables were homogeneous in the prior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rogram Effectiveness Verification Results Couple Interaction (F=45.20, p<).001), couple communication (F=34.49, p<.001), couple intimacy (z=-4.41 p<.001), marriage satisfaction (z=-4.69), p<.001), quality of life (F=25.33, p<.001)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s, indicating that for older couples, the enhanced relationship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relationship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and utilize various programs for older coup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 탈북 여성의 생애사 연구
- 유아교육역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활동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 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이 경험한 가족갈등이 정서불안을 매개로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 사관생도의 투지(Grit)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 기질의 매개효과
-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정서지능, 사회기술, 적응유연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드라이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누리과정에 근거한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 및 정서조절양식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
- 청소년의 가정위험요인과 자기 효능감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성 연구
- 중국 AI교육의 도입과 시사점
-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노인의 신체기능 상태에 따른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
- 상담전공 대학생의 조절초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뇌기능과 음악에 관한 국내 문헌고찰
-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예비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