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이용수 87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chool Satisfac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Achievement need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양재혁(Jae‑ Hyuk YANG) 김성자(Seong‑ Ja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4호, 99~11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욕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S시와 K도의 5개 초등학교 교사 170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델은 전반적으로 충분히 수용 가능한 우수한 적합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변인들의 AVE값은 .362이상의 값으로 나타나 판별타당성 역시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모델은 수용 가능한 적합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증 결과는 총 5개의 경로 가설 중 5개 경로 모두 채택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으므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욕구는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ed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achievement need in relation to the job stress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teaching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70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S and K c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was generally found to be a sufficiently acceptable level of fit. Second, the AVE value of all the variables was found to be above .362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also secured.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found to be acceptable level of fit. Fourth, th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set in the study showed that all five of the five path hypotheses were adopted. Finally, job stress and teach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which resulted in a partial mediated effects. As a result, the self-resilience and the achievement ne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eaching satisfac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 탈북 여성의 생애사 연구
- 유아교육역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머니 양육효능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활동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 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이 경험한 가족갈등이 정서불안을 매개로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 사관생도의 투지(Grit)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 기질의 매개효과
-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 정서지능, 사회기술, 적응유연성 간의 구조적 관계
- 드라이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2019 개정누리과정에 근거한 자유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 및 정서조절양식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 애착 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
- 청소년의 가정위험요인과 자기 효능감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에 관한 효과성 연구
- 중국 AI교육의 도입과 시사점
-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노인의 신체기능 상태에 따른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
- 상담전공 대학생의 조절초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 뇌기능과 음악에 관한 국내 문헌고찰
- 웃음치료 프로그램이 예비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