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학생용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이용수 19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eneral Academic Interest Sca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하유경(Ha, Yu Kyung) 조한익(Cho, Han-Ik)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0권 4호, 79~1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생용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중학생 477명과 고등학생 482명으로 전체 959명이다.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개념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반적 학업흥미의 하위요인을 인지적 흥미, 정서적 흥미, 가치적 흥미의 세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교사를 포함한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요인별로 8문항씩 24문항을 개발했다. 개발된 예비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인지적 흥미 5문항, 정서적 흥미 7문항, 가치적 흥미 8문항의 20문항으로 구성된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를 개발하였다.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의 요인 간 상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문항들은 해당 요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는 학업관련 변인들과의 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차타당도 검증에서도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었으며,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중등학생용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입증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중등학생들의 학업흥미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general academic interest sca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7 middle and 482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a general academic interest scale literature reviews were mad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s general academic interest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cognitive interest, emotional interest, and valuable intere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4 preliminary items and revealed a general academic interest scale consisting of 20 items including; 5 cognitive interests, 7 emotional interests, and 8 valuable interest items. With the reference related validity of general academic interest scal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revealed to have higher relation. In a cross-validation t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two groups were found to have homogeneity in the analysis of configure, metric, and scalar tests.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validated a general academic interest scal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e to this study, academic interest will be studied more deep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통제운동 기반 신체활동과 시지각적 탐색 기반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갈등해결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교우관계, 교사관계, 교사사기, 학교만족도의 효과 탐색
- 발도르프 교육을 기반으로 한 유아 창의성 교육 방안 탐색
- 교육공무직원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비대면 대학강의평가 영역 및 문항 탐색 연구
- 50대 중년남성의 은퇴불안 적응과정 연구
-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 정서표현억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배경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리더십,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교사의 효능감 비교 연구
- BOSI 종합심리검사 타당화 연구
- COVID-19로 인한 온라인 대체 강의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교육심리학 수업이 교직공통역량과 교육심리 세부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와 수강 유형별 차이
- 중등학생용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행복교육의 가치 설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 유아교사가 결혼이민자가정 아버지와의 협력과정에서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육적 실천
-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 시 겪게 되는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