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복교육의 가치 설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이용수  165

영문명
Establishment of Values and Recognition of Importance on Happy Education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순남(Kim, Soon Nam)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0권 4호, 195~2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행복은 인간의 최고선이다. 학교교육은 인간의 최고선인 행복한 삶을 살아 갈 수 있는 역량을길러 주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행복교육의 가치를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설정하고 학교 구성원들이 이들 가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문헌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행복교육의 가치로 설정된 것은 핵심 가치(건강, 안전 관계, 긍정, 의미, 성취)와 부가적 가치(감사, 봉사, 용서, 몰입) 등이다. 이들 행복교육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에 대해 대구일반학교와 행복학교의 교원, 학생, 학부모, 행정직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가치의 중요도가 높은 순으로 제시하면 대인안전(4.80), 시설안전(4.73), 건강(4.70), 의미의 꿈과 희망(4.69), 긍정(4.69), 관계의 배려(4.69), 관계의 소통(4.64), 의미의 자기조절(4.61), 감사(4.54), 용서(4.50), 몰입(4.49), 봉사(4.49), 창의성(4.32), 학업성취(4.32) 등이다. 이 연구는 행복교육의 가치를 보여 주는 것이고, 이들 가치들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행복한 삶을살아갈 수 있는 한국학교에서 행복교육의 가치를 실현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values of happy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alues. The method of the study includes literature analysis,survey analysis, and interview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Valueestablishment: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through many related papersand literatures, and established the values of happy education. These values are health, safety,relatedness, meaningfulness, achievement, engagement, appreciation, service, and forgiveness. 2.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alues : This study surveyed the students, parents, staff,and teachers in regular Daegu schools and happy schools to question their recognition of theimportance on the values of happy education with the Likert-type 5 scale. The importance ofthese values was rated very high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person safety is 4.8, object safetyis 4.73, health is 4.70, affirmation is 4.69, consideration is 4.69, dream and hope is 4.69,communication is 4.64, self-regulation is 4.61, appreciation is 4.54, forgiveness is 4.50, engagementis 4.49, service is 4.49, creation is 4.49, and scholastic achievement is 4.32. This study shows thevalues of happy education, and that the importance recognition of these values is very high, Ianticipate the values of happy education could be applied in Korean schools with positive effects.

목차

Ⅰ. 서 론
Ⅱ. 행복 개념 분석
Ⅲ. 행복교육의 가치 탐색
Ⅳ. 행복교육 가치에 대한 중요도 인식 조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남(Kim, Soon Nam). (2020).행복교육의 가치 설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0 (4), 195-220

MLA

김순남(Kim, Soon Nam). "행복교육의 가치 설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0.4(2020): 195-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