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0대 중년남성의 은퇴불안 적응과정 연구

이용수  376

영문명
A Study of the Retirement Anxiety Adaptation Process for Middle-Aged Men in their 50s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은주(Lee, Eun-Joo) 이지연(Lee, Jee-Yon)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0권 4호, 371~40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50대 중년남성들의 은퇴불안 적응과정을 일의 심리학 이론(Psychology of WorkingTheory: PWT) 관점에서 진로·심리상담 및 평생 교육학적 실체이론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수도권에서 현재 취업상태인 50대 중년남성 11명을 이론적 표본추출에 따라 모집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개인·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현재 취업 상태인 50대 중년남성들의 은퇴불안 적응과정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근거이론으로 분석한 결과는 총 105개의 개념과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또한, ‘자각기, 모색기, 수용기, 적응기’의 4단계로 변화하는 은퇴불안 적응과정 모형과 ‘단절로 인한 고통을 통해 노년기의 성숙성을 향해 나아감’이라는 핵심 범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취업상태인 50대 중년남성들의은퇴불안 적응과정에 대한 본질적인 인식과 적응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1960∼1970년대에 성장기를 보낸 50대 중년남성들의 현실적인 경험을 파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50대중년남성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들을 위한 정부·민간의 정책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basic data of career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lifelong pedagogicalrealit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of the retirementanxiety adjustment process of middle-aged men in their 50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Strauss and Corbin s (1998)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was used. Participants in this studyrecruited 11 middle-aged men in their 50s 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Seoul and the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oretical sampling.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experience of the retirement anxiety adjustment process of middle-aged men in their 50s who arecurrently employed in a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a result of analysis withgrounded theory, a total of 105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Inaddition, a model of the retirement anxiety adaptation process, which changes into four stages of‘a self-awareness period, a search period, a receptive period, and an adaptation period’, and acore category of ‘advancing toward maturity in old age through pain caused bydisconnection’was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o help middle-aged men in their 50s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their retirement anxiety adjustment process and to understand theprocess of adaptation, and to grasp the realistic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in their 50s whogrew up in the 1960s and 1970s, which has great significance. Theses results imply that agovernment-private policy support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them, taking into account thespecificity of being a middle-aged man in his 50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Lee, Eun-Joo),이지연(Lee, Jee-Yon). (2020).50대 중년남성의 은퇴불안 적응과정 연구.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0 (4), 371-403

MLA

이은주(Lee, Eun-Joo),이지연(Lee, Jee-Yon). "50대 중년남성의 은퇴불안 적응과정 연구."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0.4(2020): 371-4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