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가 결혼이민자가정 아버지와의 협력과정에서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육적 실천
이용수 27
- 영문명
- Difficulti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arents Cooperation Experiencing with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Families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권혜진(Kwon, Hye-Ji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0권 4호, 349~3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가정 아버지와의 협력을 통해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교육적 노력과 실천은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결혼이주민가정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1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 전사되었고 수집된 전사본을 중심으로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결혼이주민가정 아버지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아버지에게 더 많은 소통을 시도하거나 어머니와 소통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결혼이주민가정 아버지들의 영유아발달에 부적절한 요구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교사들은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 여기고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유아의 형평성 차원에서 수용하지 않는 교사의 모습도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결혼이주민가정 아버지를 위한 교육의내용과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practices experienced by earlychildhood teacher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father of multicultural background families. For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taughtmulticultural background familie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e blockedcommunications by cooperating with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family fathers. Therefore,teachers tried to communicate more with fathers and mothers. Second, the early childhood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caused by the inappropriate demands for child development bycooperating with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family fathers. Teachers were seen accepting thesedemands as a teacher s role. However, some teachers did not accept them in terms of thechild-equalit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fathers of multiculturalbackground famil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통제운동 기반 신체활동과 시지각적 탐색 기반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갈등해결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교우관계, 교사관계, 교사사기, 학교만족도의 효과 탐색
- 발도르프 교육을 기반으로 한 유아 창의성 교육 방안 탐색
- 교육공무직원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비대면 대학강의평가 영역 및 문항 탐색 연구
- 50대 중년남성의 은퇴불안 적응과정 연구
-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 정서표현억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
- 보육교사의 배경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리더십,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교사의 효능감 비교 연구
- BOSI 종합심리검사 타당화 연구
- COVID-19로 인한 온라인 대체 강의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교육심리학 수업이 교직공통역량과 교육심리 세부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와 수강 유형별 차이
- 중등학생용 일반적 학업흥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행복교육의 가치 설정 및 중요도 인식 분석
- 유아교사가 결혼이민자가정 아버지와의 협력과정에서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육적 실천
-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 시 겪게 되는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