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이용수  127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in a College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 Focusing on a Class Case Using Video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전지니(Jun, Jee-N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16호, 59~8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대학 글쓰기 수업에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그간 피드백 중심으로 이루어진 글쓰기 교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학습자 주도형’ 수업의 구축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글쓰기 수업에 플립러닝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체적 시각 확보를 독려하고, 우리 사회-문화 속 다양한 이슈와 관련된 토론의 장(場)을 마련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에 따라 해당 대학 글쓰기 수업 중 ‘논증’ 관련 수업이 이루어지는 주차에 플립러닝 방식을 적용했다. 구체적으로 수업 전 학습자에게 사형제도의 문제성을 다룬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2006)의 축약본을 감상하게 하고, 사이버캠퍼스에 영화가 사형제 폐지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방식에 대한 생각을 댓글로 적도록 권고했다. 이후 수업 중 영화의 논증구조와 관련된 토론을 진행했고, 수업을 마친 후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했다. 이어 토론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위해 교수자가 학습자의 댓글에 다시 댓글을 달아 수업 동기를 자극하려 했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복습에 익숙한 학생들을 감안해 수업 전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할 만한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두 번째, 수업 전 학습은 학습자에게 시간적, 심리적으로 과도한 부담감을 주지 않는 선에서 시행해야 한다. 세 번째, 플립러닝을 통한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 주도형 수업으로 거듭나려면 토론 주제는 학습자 스스로 선택하게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을 만들어가려면 수업 중 교수자의 역할은 최소화하고, 소그룹을 만들거나 학습자들이 서로 얼굴을 마주보면서 대화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 번째, 미리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면 학습자 입장에서도 수업을 이해하기 수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업 전 학습에 참여했더라도 수업 중 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참여 동기를 자극할 만한 계기를 주어야 한다. 이 같은 방식이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improve a problem of the writing subject, which has been performed centering on feedback in the meantime,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implementing a learner-directed class through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o a college writing class.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points to what encourages subjectively visual security and arranges a place of discussion related to diverse issues of our society and culture. The flipp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a class relevant to ‘our language and writing ‘argument’ of the University. Specifically, it allowed students to appreciate the simplified version of (2006), which is a movie of addressing a problem about death penalty, before class, and recommended them to write a comment in cyber campus on a ground for which a movie insists on necessity of abolition in death penalty. Following this, it progressed brainstorms relevant to a demonstrative structure of a movie during class and confirmed satisfaction at a clas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learners after finishing a class. The conclusions, which were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iven trying to propose materials before class for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review rather than preview, it should be what is enough to stir up these students interest. Secondly, learning before class needs to be implemented at a level of not giving a temporally and psychologically excessive burden to a learner. Thirdly, if a writing class through the flipped learning aims to be reborn as a truly learner-driven class, a topic for discussion needs to be selected by learners themselves. Fourthly, if a learner tries to proceed with making an independent class, it is proper for being minimized a teacher s role during class. There is a need to offer conditions of making a small group or of being available for learners to talk with coming face to face each other. Fifthly, proposing a learning goal in advance may lead to being easy for understanding a class even in a learner s position. Finally, it is w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opportunity enough to stimulate a motivation of participation for students who failed to positively take part in activity during class even if having participated in learning before class. This gradual application is expected to offer an opportunity of being able to develop ability that a learner oneself will think.

목차

1. 플립러닝의 도입과 학습자 주도적 글쓰기 수업
2. 동영상을 활용한 토론 수업의 사례
3. 학습자 반응과 교수자 피드백을 통한 수업 보완
4. 플립러닝을 도입한 글쓰기 수업의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지니(Jun, Jee-Nee). (2016).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 59-87

MLA

전지니(Jun, Jee-Nee).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2016): 59-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