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irection of Education about Self-biographical Writing That Reflect Learner’s Life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은미(Lee Eun-m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제16호, 167~1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쓰기 교육에서 학습자의 실제 삶이나 경험에 관련된 주제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자신이 살아가는 삶의 맥락이 반영된 실제적 텍스트를 쓸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실제 삶을 반영하는 쓰기로서 특히 자전적 장르가 지닌 특성을 기초로 교육 현장에서 새로이 인식해야 할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전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전적 장르가 지닌 속성에 대해 알아보고, 쓰기에서 활용되는 실제 유형들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자서전을 비롯한 자전적 장르에 관한 언급은 극히 단편적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명시되어 왔다. 또 이를 통하여 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논의들도 꾸준히 이어져 왔다. 하지만 지금의 자전적 쓰기 교육은 기존의 위인들이나 유명 작가들의 전형적인 텍스트를 통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특히 학습자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는 역동적인 학습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논문은 자전적 장르의 쓰기 활동 내부에서 삶을 반영하는 측면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실제 삶과 밀접한 자전적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한다. 이러한 쓰기 교육은 궁극적으로 자전적 쓰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자신의 환경에 조화롭게 적응하는 목표를 지향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days in writing education, there are so many attention about the theme of real life or one’s experience. Generally these are pointed on educating learners to write real text that reflect learner’s context of life. This report is based on self-biographical genre as a writing type that reflect learner’s real life, and want to prospect educational direction that need to be recognized in educational field. For this work, first of all want to inquire features of self-biographical genre, then want to see detailed contents that are used on writing. On curriculum, mention about self-biographical text-contained biography- is very fragmentary but consistently, and various argument was carried over for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But now writing education of self-biographical text need to emerge from the stereo type of text that concerned about existing master spirit or famous author, and especially need to shape up dynamic learning method that accentuate a leading role of learners. Ultimately in this study, want to examine the aspect of reflecting one’s life in inner part of self-biographical writing activity, through this to prospect direction about education of self-biographical writing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learner’s real life. Finally this writing education aimed at learner’s can examine one’s life and live with and adapt to their environment through activities of self-biographical writi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학습자의 삶을 반영하는 쓰기와 자전적 장르의 성격
3. 자전적 쓰기 교육의 방향과 전망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방향 연구
-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 ‘읽기-토론-쓰기’의 연계적 수업에서 글쓰기 학습자의 수용 양상 연구
- 대학 글쓰기 주제 선정 현황과 ‘주제 정하기’ 교육 방안 연구
- 글쓰기 동기 부여를 위한 체험적 글쓰기
-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 학습자의 삶을 반영하는 자전적 쓰기 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글쓰기 평가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 글쓰기 선진화 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 A Methodology of the Cognitive Research and the Education of the College Writing
-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과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